“외로움 싫지만 상처받기도 싫어” 인간관계가 어려운 ‘고슴도치딜레마’[최고야의 심심(心深)토크]

  • 동아일보
  • 입력 2023년 11월 18일 14시 00분


코멘트
마음(心)속 깊은(深) 것에 관한 이야기를 다룹니다. 살면서 ‘도대체 이건 왜 이러지?’ ‘왜 마음이 마음대로 안 될까?’ 하고 생겨난 궁금증들을 메일(best@donga.com)로 알려주세요. 함께 고민해 보겠습니다.
까칠한 가시 때문에 가까이 갈 수 없지만, 서로 따뜻함을 나누기 위해 자꾸만 모여드는 고슴도치들처럼 우리도 상처받고 다시 가까이 다가가기를 반복하며 살아간다. pixabayⓒamayaeguizabal
까칠한 가시 때문에 가까이 갈 수 없지만, 서로 따뜻함을 나누기 위해 자꾸만 모여드는 고슴도치들처럼 우리도 상처받고 다시 가까이 다가가기를 반복하며 살아간다. pixabayⓒamayaeguizabal
추운 겨울날 고슴도치 여러 마리가 체온을 나누기 위해 모여들었다. 그런데 가시가 서로를 찔러대 도저히 가까이 있을 수 없어 금세 흩어지고 말았다. 또다시 날씨가 추워져 고슴도치들이 모여들었지만, 역시나 서로의 날카로운 가시를 피해 흩어지기를 반복했다.

독일의 철학자 아르투어 쇼펜하우어는 1851년 발표한 저서 ‘소품과 부록(Parerga und Paralipomena)’에서 인간관계의 특징을 고슴도치에 비유했다. 그는 책에서 “사회의 필요가 ‘인간 고슴도치들’을 함께 몰아가지만, 그들 본성의 까칠하고 불쾌한 특성 때문에 서로 반발할 뿐”이라고 일갈했다. 상당히 냉소적이기는 하나, 딱히 틀린 말도 아니다.

우리는 살면서 혼자 있자니 외롭고, 다른 이와 함께 하자니 피곤한 내적 갈등과 끊임없이 마주한다. 혼자 있고 싶으면서도, 다른 사람과 연결되고 싶은 두 상태를 모두 갈망한다고도 볼 수 있겠다. 애초에 아무와도 엮이지 않으면 상처받거나 골치 아플 일도 없을 텐데, 우리는 왜 이렇게 인간관계 때문에 인생의 많은 시간을 고민하며 보내게 되는 걸까.

사는 내내 계속되는 ‘고슴도치의 딜레마’
친밀감에 대한 욕구와 상처받지 않고 싶은 욕구가 양립할 수 없다는 의미에서 이를 ‘고슴도치의 딜레마’라고 한다. 오스트리아 정신분석학자 지그문트 프로이트가 1921년 저서 ‘집단 심리학과 자아의 분석’에서 쇼펜하우어의 고슴도치 우화를 소개한 이후 심리학에서 이와 관련한 많은 연구가 이뤄졌다.

여러 연구에 따르면 친밀감과 소속감에 대한 욕구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강력하다. 진화론적으로 봤을 때, 집단에서 추방당하는 것은 외부 위험에 그대로 노출돼 곧 죽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래서 대인관계에 문제가 생기면, 뇌에서 위기 경보가 울린다. 이를 담당하는 뇌 부위는 몸이 아플 때도 유사하게 활성화되는 곳이다. 뇌에서는 대인관계 문제를 몸이 아플 때만큼 생존에 큰 위협이 생긴 것으로 받아들이기 때문이다. (자세한 내용은 ‘사람에게 상처받았을 때, 진통제 ‘한 알’이 효과 있다?’ 기사 참고)

외로움은 하루에 담배 15개비를 피우는 것만큼 몸에 해로운 영향을 미친다고 한다. pixabayⓒPexels
외로움은 하루에 담배 15개비를 피우는 것만큼 몸에 해로운 영향을 미친다고 한다. pixabayⓒPexels
현대 사회에서는 대인관계의 고립이 곧 죽음을 의미하지는 않지만, 몸과 마음 건강에 치명타를 준다. 올해 초 미국 공중보건서비스단은 외로움이 하루에 담배 15개비를 피우는 것만큼 건강에 해롭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기도 했다. 또 마크 리어리 미 듀크대 심리학과 교수 연구에 따르면, 친밀한 대인관계가 부족한 사람들은 외로움이나 죄책감, 질투, 우울, 불안 등을 훨씬 더 많이 경험한다. 더 나아가 높은 비율로 정신 병리적 문제가 생기기도 하고, 면역 체계 기능이 떨어지기도 한다. 골치 아픈 대인관계 문제를 뒤로 하고 영영 혼자 살 수만은 없는 이유다.

“넌 내게 모욕감을 줬어” 비뚤어지고 싶은 마음
이런 갈망을 채우기 위해서라면, 대인관계에서 상처받고 배척당했을 때 관계 회복을 위해 애쓰는 것이 당연해 보인다. 호감을 사려고 노력해야 아무래도 관계를 잘 이어 나가는 데 도움이 될 테니 말이다. 그런데 인간에게는 이럴 때 오히려 정반대로 더 공격적이고 이기적으로 굴게 되는 특이한 구석이 있다. 마치 “나에게 상처 줬으니 난 더 비뚤어지겠다”는 것처럼 느껴지는 면모다.

네이선 드월 미 켄터키대 심리학과 교수 연구팀은 대인관계에서 상처받았을 때 사람들이 어떤 태도를 보이는지 관찰했다. 서로 초면인 실험 참가자들을 5인 1조로 나눠 서로 인사하고 자기 소개하는 시간을 줬다. 그리고 각자 조원 중에 함께 일하고 싶은 사람 2명씩 이름을 써서 내라고 했다. 일종의 인기 투표 같은 것이었다.

잠시 뒤 각자에게 결과가 통보됐다. 누군가는 나머지 조원 4명 모두에게 선택받았다는 기분 좋은 소식이 전해졌고, 또 다른 이들은 각각 3명, 2명, 1명에게 선택받았다는 결과를 전해 들었다. 그런데 안타깝게도 이들 중에는 아무에게도 선택받지 못 한 사람도 있었다.

아무도 나를 좋아하지 않고 관심도 주지 않는다면? 마음이 위축되기도 하겠지만, 남들에게 화풀이하는 공격성 또한 두드러지게 늘어난다. 게티이미지뱅크
아무도 나를 좋아하지 않고 관심도 주지 않는다면? 마음이 위축되기도 하겠지만, 남들에게 화풀이하는 공격성 또한 두드러지게 늘어난다. 게티이미지뱅크
사실 이들이 통보받은 결과는 실제 투표 결과가 아니었다. 사람들에게 거부당하고 소외당한 상황을 만들어 내기 위해 연구팀이 임의로 아무 결과나 통보해준 것이었다. 가짜 인기 투표인지 알 리 없는 참가자 중 ‘0표’를 받은 이들의 기분이 좋을 리 없었을 것이다. 아무에게도 선택받지 못했다는 사실에 꽤 불쾌하고 감정 상하지 않았을까.

이런 상태에서 연구팀은 앞서 같은 조가 아니었던 다른 사람과 2인 1조로 짝을 이루고 간단한 게임을 하도록 했다. 이긴 사람은 진 사람에게 벌칙으로 듣기 싫은 소음 버튼을 눌러 응징하는 규칙이 적용됐다. 소음의 강도와 지속 시간도 이긴 사람 마음대로 정하게 했다.

그리고 앞서 가짜 인기 투표 결과와 응징의 가혹함 수준을 비교해봤다. 어떤 결과가 나왔을까? 앞서 ‘0표’를 받았던 사람들이 벌칙을 가장 세게 준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사람들에게 상처받아 기분 상한 마음을 제삼자인 게임 파트너에게 화풀이한 셈이다.

이와 비슷한 조건으로 꾸민 다른 실험에서도 역시 대인관계에서 배척당한 사람들은 제삼자에게까지 공격성을 드러냈다. 따돌림 상황을 겪은 실험 참가자에게 다른 사람이 먹을 음식에 원하는 만큼 매운 소스를 뿌릴 기회를 줬더니, 마구 뿌려댄 그 양이 엄청났다. 심지어 음식을 먹게 될 사람이 매운 음식을 못 먹는다는 사실을 알면서도 그랬다.

연구팀은 “누군가가 나를 거부했다는 느낌을 받으면 일종의 공격으로 받아들여 상관없는 다른 사람들에게까지 두루 공격성을 드러내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묻지마’ 흉기 난동범이나 총기난사범 같은 범죄자 일부는 외톨이 생활로 강화된 공격성이 극단적으로 나타난 사례로 볼 수 있다. (관련 기사 ‘연이은 ‘묻지마 칼부림’ 그들은 도대체 왜 세상을 향해 흉기를 휘두르나’ 참고)

날 지지해주는 사람 딱 ‘한 명’만 있어도···
‘삐딱선’ 타는 마음은 사람들과 연결되고 싶고, 소속되고 싶은 강렬한 욕구가 좌절됐을 때 느끼는 불쾌한 감정이 너무 크기 때문 아닐까. 심술을 많이 부릴수록 더 마음이 아프다는 방증일지도 모른다. 그런데 계속 공격적이고 반사회적으로 굴면 다른 사람들에게 선택받을 기회는 더 줄어든다. 어쩔 수 없이 소외가 또 다른 소외를 낳는 결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이 연구에서 말하려는 것은 이게 다가 아니다. 위에서 소개한 두 실험 모두 1명이라도 자신을 지지해준 사람이 있는 경우에는 공격성이 훨씬 덜 나타났다. 아무에게도 선택받지 못 한 사람들보다 1명에게라도 선택받은 사람은 공격성이 절반 수준으로 뚝 떨어졌다. 즉, 1명이라도 나를 지지해주는 사람이 있으면, 상처받고 비뚤어지려는 마음이 훨씬 줄어들 수 있다는 의미다.

아무에게도 선택받지 못 한 사람들은 가장 높은 공격성을 드러냈지만(빨간색 사각형), 1명에게라도 선택받은 경우엔 공격성 수준이 절반 가까이 낮아졌다(노란색 사각형). Social Psychological and Personality Science
아무에게도 선택받지 못 한 사람들은 가장 높은 공격성을 드러냈지만(빨간색 사각형), 1명에게라도 선택받은 경우엔 공격성 수준이 절반 가까이 낮아졌다(노란색 사각형). Social Psychological and Personality Science
물론 지지해주는 사람의 수가 많으면 많아질수록 다른 사람에게 공격성을 드러내는 수준이 줄어들었다. 주변 인간관계가 얼마나 ‘지지적’인지에 따라 온화하고 너그러워질 수 있다는 것을 예측해볼 수 있는 대목이다. 하지만 지지자의 수가 한 명씩 늘어날수록 줄어드는 공격성 수준의 폭은 그다지 극적이진 않았다. 나를 지지해주는 사람이 단 한 명이라도 ‘있다’는 것 자체가 중요했다.

주변에 단 한 명, 최소한의 지지와 수용만으로도 그럭저럭 ‘살 만하다’고 느낄 수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주변에 단 한 명, 최소한의 지지와 수용만으로도 그럭저럭 ‘살 만하다’고 느낄 수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가시에 또 찔려도…우리는 새로운 인연을 갈망한다
사람에게 상처받았을 때 아무에게나 심술부리고 비뚤어질 수 있는 인간이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새로운 인연을 만나길 바라는 마음도 여전히 갖고 있다. 한 번 외톨이가 되는 경험을 해본 사람들은 새로운 친구를 사귈 기회가 오면 굉장히 열린 마음이 된다고 한다.

미 플로리다주립대 심리학과 연구팀은 앞서 소개한 실험에서처럼 인위적으로 따돌림 상황을 겪게 한 실험 참가자들을 관찰했다. 이들은 외톨이가 되는 경험을 하지 않은 실험 참가자들보다 새로운 친구를 사귈 수 있는 환경에 더 적극적으로 나섰다. 이들은 △사교 클럽에 가입하겠다고 하거나 △혼자 작업하는 것보다 누군가와 협업하는 일을 선택하거나 △실험 파트너에게 좋은 인상을 주기 위해 자기 이익(현금)을 포기하기도 했다. 새로운 인연을 만날 수 있다는 희망이 생기자, 공격적이고 이기적으로 구는 대신 수용 받기 위해 노력하게 된 것이다.

우리는 여러 경험상 또다시 가시에 찔려 상처받을 수도 있다는 것을 앎에도 불구하고 서로의 체온을 함께 나누기 위해 다가가기를 멈추지 않는 사회적 존재다. pixabayⓒAlexas_Fotos
우리는 여러 경험상 또다시 가시에 찔려 상처받을 수도 있다는 것을 앎에도 불구하고 서로의 체온을 함께 나누기 위해 다가가기를 멈추지 않는 사회적 존재다. pixabayⓒAlexas_Fotos
앞서 쇼펜하우어는 “고슴도치들이 안전거리를 유지하면서 머리만 맞대 가시에 찔리지 않고 적당한 온기를 나눌 뿐”이라고 부연했다. 가시가 무서워 추위에 얼어 죽지 않을 정도만 서로에게 가까이 간다는 것이다.

하지만 현실의 인간관계에서는 언젠가 또 가시에 찔리는 것을 감수하고 온기를 갈망하는 마음이 더 커 보인다. 심지어 따뜻함을 나눌 대상이 단 한 명이라도 있으면 비뚤어지고 모났던 마음도 너그럽게 바뀐다. 다른 사람과 연결되고, 수용 받고 싶어 하는 인간의 마음이 얼마나 큰지 알 수 있다. 갈수록 팍팍해지는 세상에서 나는 지금 외로운 누군가에게 손을 내미는 ‘한 사람’이 되어주고 있을까.
최고야 기자 best@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