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6회 박경리문학상 최종 후보자들]<1> 英 소설가 앤토니아 수전 바이엇

  • 동아일보
  • 입력 2016년 8월 4일 03시 00분


코멘트

인생의 본질에 대한 성찰, 밀도 높은 언어로 그려내

앤토니아 수전 바이엇의 소설 속 주인공은 대개 작가와 학자들이다. 작가는 이들의 작업을 통해 문학 연구와 예술 창작 과정의 미학적 탐색을 소설로 구현한다. 동아일보DB
앤토니아 수전 바이엇의 소설 속 주인공은 대개 작가와 학자들이다. 작가는 이들의 작업을 통해 문학 연구와 예술 창작 과정의 미학적 탐색을 소설로 구현한다. 동아일보DB
《국내 및 해외 작가들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 최초의 세계문학상인 ‘박경리문학상’이 올해로 6회째를 맞는다.

이 상은 보편적 인간애를 구현한 ‘토지(土地)’의 작가 박경리 선생(1926∼2008)의 문학 정신과 업적을 기리기 위해 2011년 제정됐다.

박경리문학상은 토지문화재단(이사장 김영주)과 박경리문학상위원회, 강원도와 원주시, 동아일보사가 공동 주최한다. 상금은 1억 원.

초대 수상자는 ‘광장’의 작가 최인훈, 제2회 수상자는 러시아 작가 류드밀라 울리츠카야, 제3회 수상자는 미국 작가 메릴린 로빈슨,

제4회 수상자는 독일 작가 베른하르트 슐링크, 제5회 수상자는 이스라엘 작가 아모스 오즈였다.

올해 박경리문학상 심사위원회(위원장 김우창 고려대 명예교수)는 최종 후보 6명을 최근 결정했다. 수상자는 9월 말 발표할 예정이다.

최종 후보 가운데 첫 번째로 영국 소설가 앤토니아 수전 바이엇(80)을 소개한다. 고려대 교수인 이남호 박경리문학상 심사위원이 그의 작품 세계를 분석했다. 》

앤토니아 수전 바이엇 소설의 서사와 언어는 밀도가 높다. 지적이기도 하다. 그 단단한 언어의 덩어리는 안일하고 미지근한 독서로는 잘 녹지 않는다. 그러나 깊은 사유에 익숙하고 인내심이 있는 독자에게는 그 단단한 언어의 덩어리를 살살 녹여 먹는 맛이 각별하다. 달리 말해서 바이엇의 소설은 어렵지만 매력적이다.

바이엇은 1936년 영국에서 태어났고, 영국과 미국에서 공부했다. 대학에서 영국 문학과 미국 문학을 가르치기도 했지만, 1983년 교수직을 그만두고 소설 쓰기에 매진해 좋은 작품을 지속적으로 발표했다. 영국 문학, 영국 문화와 관련된 사회적 활동 및 비평 활동도 활발히 한 미학적 지성인이다. 그는 20대인 1964년에 첫 소설을 출간했고 중년 이후 더 주목할 만한 문학적 성과를 낸다. 그의 대표작이라고 할 수 있는 소설 ‘소유’(1990년)와 ‘천사와 벌레’(1992년)는 40대의 작품이다. 그는 60대 이후에도 왕성한 작품 활동을 계속해 왔다.

‘소유’는 두 겹으로 된 복잡하고 치밀한 작품이다. 20세기의 문학연구자인 롤런드 미첼과 모드 베일리가 19세기의 시인인 두 남녀의 문학과 사생활을 추적한다. 이러한 두 겹의 연애 이야기는 한편으로는 19세기 빅토리아 시대의 문학적 탐구로 전개되고, 또 한편으로는 추리소설처럼 수수께끼 풀이로 진행되면서 흥미를 더한다. 그 속에는 다시 남녀 관계와 인생의 본질에 대한 철학적 사유가 들어 있다. 이 작품에서 특히 돋보이는 점은 두 시인의 창조이다. 빅토리아 시대의 시인 랜돌프 헨리 애시와 크리스터벨 라모트가 허구적 인물이라고 믿기 어려울 정도로, 작가가 대신 창작한 그들의 시와 편지들은 문학적 개성과 향기와 문제의식이 뚜렷하다. 작가의 상상력과 문학적 재능은 허구적 시인을 진짜 시인처럼 여기게 만든다. ‘소유’는 문학적 지성의 한 정점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천사’ 편과 ‘벌레’ 편의 연작으로 된 ‘천사와 벌레’ 역시 19세기를 무대로 한 소설이다. 이 중 ‘벌레’ 편은 아마존에서 10년간 동식물을 채집하고 영국으로 돌아온 젊은이의 이야기다. 세련된 문화가 있는 대저택의 삶과 원시 아마존에서의 삶이 대비되고, 부유하고 아름다운 목사의 딸과 억압된 삶을 사는 가정교사 매티가 대비된다. 그런가 하면 대저택의 권력 위계와 개미사회의 권력 위계가 서로를 비추면서 전개된다. 벌레들의 세계와 그 아름다움에 대한 섬세한 묘사 그리고 다양한 박물학적 지식은 이 작품의 특별한 매력이지만, 작가는 거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문명과 영혼이 야만과 육체보다 우월하다는 통념에 회의를 표한다. 소설의 마지막은 “살아 있다는 것, 살아 있기만 하다면, 그래서 자세히 더 잘 볼 수만 있다면 모든 것은 너무나 놀랍답니다”라는, 생명에 대한 외경으로 마무리된다.

바이엇의 작품에는 엄청난 문학 내공이 느껴진다. 그녀의 작품은 세상 경험으로부터 나왔다기보다는 문학 공부로부터 나왔다는 느낌이 강하다. 그 문학 공부는 영국 문학의 전통 특히 빅토리아 시대의 문학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그래서 문학적 매력과 형이상학적 깊이는 대단하다. 그 대신 거친 호흡과 땀 냄새가 바로 느껴지는, 삶의 맨얼굴과 맨발을 보여주는 문학은 아닌 듯하다.
 
이남호 고려대 교수·문학평론가
 
:: 앤토니아 수전 바이엇 ::


1936년 영국 요크셔에서 태어났다. 케임브리지대와 요크대에서 공부했고 1972년부터 런던대 교수로 재직하며 영미문학을 강의했다. 뛰어난 비평가이기도 했던 바이엇은 ‘워즈워스와 콜리지의 시대’ 등의 비평서를 발표했다. 1983년 대학을 떠나 전업 작가로 활동했다. 바이엇의 작품 중 최고의 걸작으로 꼽히는 것은 ‘소유’(사진)로 1990년 부커상을 수상했으며, 영국 최고 영예지도자상인 커맨더 훈장(CBE)을 받았다. 다른 소설로는 ‘태양의 그림자’, ‘게임’, ‘정원의 처녀’, ‘정물’, ‘전기 작가의 이야기’, ‘설탕과 그 밖의 이야기들’, ‘천사와 벌레’ 등이 있다. ‘소유’는 원제 ‘퍼제션(Possession)’으로 영화화됐으며 ‘천사와 벌레’도 영화로 만들어졌다. 국내에는 ‘소유’가 나와 있다.
#앤토니아 수전 바이엇#소유#박경리문학상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