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획 한 획, 나라를 다시 생각하며…

  • 동아일보
  • 입력 2016년 1월 7일 03시 00분


코멘트

원로 서예가 유천 이동익 개인전

논어 학이(學而)편의 ‘삼성오신(三省吾身)’. “날마다 세 번 몸을 살피며 사람을 위해 일을 도모함에 충실했는지, 벗과 사귀되 신실했는지, 스승에게 배운 바를 잘 익혔는지 반성했다”는 증자의 말이다. 성균갤러리 제공
논어 학이(學而)편의 ‘삼성오신(三省吾身)’. “날마다 세 번 몸을 살피며 사람을 위해 일을 도모함에 충실했는지, 벗과 사귀되 신실했는지, 스승에게 배운 바를 잘 익혔는지 반성했다”는 증자의 말이다. 성균갤러리 제공
원로 서예가 유천(攸川) 이동익 씨(76·사진)의 성균관대 초청 서예전시회가 12일∼2월 13일 서울 종로구 성균갤러리(성균관대 경영관 1층)에서 열린다. 4번째 개인전인 이번 전시에서 이 씨는 광개토대왕릉비문, 조선 문신 류성룡의 임진왜란 기록서인 징비록의 서문 등을 자신의 필치로 재해석해 쓴 작품을 선보인다.

퇴계 이황의 ‘금강정(錦江亭)’. 안동에서 춘천으로 가던 길에 금강정에 들러 지은 것으로 전해진다. 성균갤러리 제공
퇴계 이황의 ‘금강정(錦江亭)’. 안동에서 춘천으로 가던 길에 금강정에 들러 지은 것으로 전해진다. 성균갤러리 제공
대한민국 임시정부 초대 국무령을 지낸 독립운동가 석주(石洲) 이상룡 선생(1858∼1932)의 문중인 그는 개인전 주제를 ‘나라를 다시 생각한다’로 내걸었다. 이 씨는 “국운이 풍전등화와 같을 때 자신의 몸을 돌보지 않고 대의를 위해 목숨을 내던진 선조의 뜻을 더듬었다”고 말했다. 독립운동가 매천(梅泉) 황현(1855∼1910)이 경술국치에 분개해 자결하며 남긴 절명시, 충무공 이순신의 진중음(陣中吟)을 옮겨 쓴 글에서 남다른 결의가 엿보인다.

퇴계 이황이 지은 매화시 91수를 이어 쓴 ‘매화무진장(梅花無盡藏)’은 작품 높이 1.5m에 폭은 50m에 이른다. 그 밖에 율곡 이이의 ‘호당야좌(湖堂夜坐)’, 회재 이언적의 임거십오영(林居十五詠)을 옮겨 쓴 글씨도 전시한다. 02-733-6565

손택균 기자 sohn@donga.com
#이동익#서예전시회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