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미지의 것들 중 가장 미지의 것 ‘죽음’

  • Array
  • 입력 2012년 9월 22일 03시 00분


코멘트

◇죽음/임철규 지음/356쪽·2만5000원·한길사

19세기 중반 제작된 존 밀레이의 그림 ‘오필리아’. 셰익스피어의 희곡 ‘햄릿’에서 오필리아는 아버지가 연인 햄릿에게 살해되자 강물에 몸을 던져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한길사 제공
19세기 중반 제작된 존 밀레이의 그림 ‘오필리아’. 셰익스피어의 희곡 ‘햄릿’에서 오필리아는 아버지가 연인 햄릿에게 살해되자 강물에 몸을 던져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한길사 제공
이 세상에서 가장 좋은 것은 뭘까. 그리스신화에 나오는 부(富)의 왕 미다스가 사티로스의 지휘자이자 스승인 실레노스에게 질문했다. 실레노스는 좀처럼 입을 열지 않다가 다그치는 미다스에게 마침내 이렇게 대답했다. “태어나지 않았어야 하는 것이 가장 좋은 것이고, 그 다음 좋은 것은 가능한 한 빨리 죽는 것입니다.”

대체 죽음이 뭐기에? 우리는 죽기 전까진 그 답을 알 수 없다. 프랑스의 철학자 에마뉘엘 레비나스의 말대로 죽음은 “미지의 것들 중 가장 미지의 것”. 베일에 꽁꽁 싸여 있기에 산 자에겐 더없이 두려운 것이 죽음인지도 모른다.

전작 ‘눈의 역사 눈의 미학’ ‘왜 유토피아인가’ 등에서 문학 신화 철학 역사학 정신분석학을 넘나들며 인간의 실존을 탐구해온 임철규 연세대 명예교수(73)가 이번에는 ‘죽음’에 천착했다. 이 책은 죽음이라는 ‘현상’에 대한 인문학적 고찰이다.

저자는 초등학생이던 6·25전쟁 직후 고향인 경남 창녕에서 토벌대로부터 잔인하게 죽임을 당한 빨치산의 모습을 목격한 뒤 죽음에 대한 트라우마를 안게 됐다고 고백한다. 2009년 노무현 전 대통령의 자살을 계기로 그는 본격적으로 죽음에 대해 써내려갔다. 책의 한 장(章)에서 그는 로마 공화정 말기의 정치인 카토와 노 전 대통령을 비교했다. 카토는 로마 공화정의 적이 된 율리우스 카이사르와 맞서 싸우다 패배하자 스스로 목숨을 끊은 인물이다.

이들 외에도 책에는 수많은 역사적 인물의 죽음에 대한 생각이나 죽음에 얽힌 이야기가 등장한다. ‘입 속의 검은 잎’의 시인 기형도의 요절, 톨스토이의 소설 ‘이반 일리치의 죽음’을 통해 엿보는 죽음, 프로이트의 ‘죽음본능’ 개념에 이르기까지.

철학자로서 죽음에 대해 최초로 천착한 사람은 그리스의 에피쿠로스였다. 그는 행복한 삶을 사는 데 가장 중요한 요소로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하기’를 꼽았다. 요즘 한국에서 심각한 사회문제가 된 자살에 대해 옛 철학자들의 생각은 엇갈렸다. 흄은 “인간은 자신의 생명을 거둘 권리가 있다”며 자살을 적극 옹호했다. 반면 칸트는 자살을 범죄로 취급하며 격렬히 비난했다. 자살은 가족 동료 시민 국가, 그리고 신에 대한 의무의 위반이자 자기 자신에 대한 의무의 위반이라는 생각에서였다.

우리 모두는 언젠가 죽는다는 사실을 알면서도 우리의 미래인 죽음에 대해 성찰하기는 꺼린다. 그래서 하이데거는 죽음을 미래의 사건으로 여기고 현재 살아 있다는 사실에 안도하는 사람들을 “죽음 앞에서의 부단한 도피”를 하는 자들이라고 꼬집었다.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죽음에 대한 인류의 성찰을 응축한 이 책은 우리를 그 나약한 도피로부터 붙잡아준다.

신성미 기자 savoring@donga.com
#인문사회#죽음#책의 향기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