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이야기]<1308>是故로 賢君은 必恭儉하여…

  • Array
  • 입력 2011년 12월 22일 03시 00분


코멘트
등나라 文公이 정치에 대해 묻자 맹자는 農政(농정)의 중요성을 역설하고, 백성들의 生業(생업)을 안정시키는 것이 정치의 가장 근본임을 역설했다. 이때 ‘양혜왕·상’에서 제나라 宣王(선왕)에게 仁政을 권하면서 진술한 말을 반복해서, 백성들은 恒産(항산)이 없으면 恒心(항심)이 없게 된다고 지적했다. 그러고서 맹자는 군주 자신이 아랫사람을 예우하고 백성들에게서 세금 취하는 것을 절제있게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당시의 제후들은 자신들의 사치스러운 생활과 영토 전쟁을 위해 백성들에게서 명목 없는 세금을 징수하여 백성들의 생활조건을 악화시켰다. 그래서 맹자는 올바른 정치를 하려면 우선 군주가 오만하지 않고 儉約(검약)하며, 아랫사람을 예우하고 물자 사용을 節制(절제)해야 한다고 강조한 것이다.

恭儉(공검)은 사람들을 대할 때 태도를 겸손하게 갖고 자신을 검속하는 것을 말한다. 儉은 물자를 낭비하지 않고 생활을 儉素(검소)하게 하며 갖가지 행사 절차를 모두 검약하는 것을 말한다. 禮下는 아랫사람을 欺瞞(기만)하지 않고 禮遇(예우)하는 것을 말한다. 取於民은 백성에게서 세금을 취한다는 뜻이다. 有制는 일정한 제한이 있다는 말이니, 制는 節用(절용)과 같다. 恭儉은 어진 군주의 신상에 관한 말, 禮下와 取民有制는 어진 군주가 恭儉의 태도를 미루어나가 정치에 시행하는 것을 두고 한 말로 볼 수도 있다.

고려 성종의 求言에 응하여 崔承老(최승로)는 상소를 올려 고려 역대 왕들의 정치에 대해 논평하면서, 光宗이 처음에는 정치와 교화에 힘을 기울였으나 귀화한 雙冀(쌍기)를 지나치게 우대하고 중국의 풍속을 존중하여 백성들의 재물을 소모시켰으며 말년에는 죄 없는 사람을 많이 죽였다고 지적하고, ‘만약 광종께서 항상 恭儉과 節用만 생각하여 즉위한 처음처럼 政事에 부지런하였더라면 어찌 그 수명을 겨우 50세만 누리셨겠습니까’라고 아쉬워했다. 고려 때 관료는 중국의 고사에 빗대어 에둘러 말하지 않고 역대 국왕들의 失政을 곧바로 비판할 만큼 당直(당직·말이 충성스럽고 곧음)을 숭상했던 듯하다.

심경호 고려대 한문학과 교수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