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개혁 발상지를 가다]<上>루터와 비텐베르크城 교회

  • Array
  • 입력 2011년 3월 10일 03시 00분


코멘트
마르틴 루터
마르틴 루터
《1517년 교황의 면죄부를 비판하는 95개 논제를 발표하면서 종교개혁의 불을 지핀 마르틴 루터. 그 종교개혁의 정신이 면면히 흘러온 지 약 500년. 그러나 한국의 종교계는 소란스러움이 그치지 않고 있다. 루터의 독일, 장 칼뱅의 스위스 등 종교개혁의 정신이 남아 있는 유럽을 찾아 종교의 근본정신을 되짚어보는 기사를 두 차례에 걸쳐 소개한다.》

5일 독일 비텐베르크 성 교회. 옛 동독 지역인 라이프치히에서 차량으로 1시간 남짓 떨어진 이곳은 종교개혁의 대명사 마르틴 루터(1483∼1546)로 기억되는 도시다. 쌀쌀한 날씨 속에 교회 앞에 있던 서너 명이 검은색 동판을 가리키며 다소 들뜬 표정으로 사진을 찍었다. 기독교를, 나아가 세계사를 바꾼 것으로 평가받는 루터의 95개항 논제를 새긴 동판이다. 1517년 10월 31일 그는 면죄부 판매 등으로 극심한 타락에 빠진 로마 교황청을 향해 “참된 참회가 이루어졌다고 느끼는 모든 그리스도인은 예외 없이 면죄부가 없어도 그에게 부여되는 형벌과 죄책으로부터 완전한 용서를 받는다”고 외쳤다. 본인은 물론이고 연옥에 빠진 부모를 천국으로 이주시킬 수 있다는 ‘초강력 면죄부’마저 나돌던 때였다. 루터의 출생부터 죽음까지, 그의 자취를 따라 종교개혁의 이면을 취재했다.

○ “루터도 예상하지 못했다”

종교사적 중요성에 비하면 오히려 단출해 보이는 교회 바닥에는 루터의 무덤이 있다. 이곳에서 만난 루터교회 신자 하이디 투블러 씨(24·남아프리카공화국)는 “루터는 인류에 종교의 자유를 안겨준 용기 있는 인물”이라고 말했다. 은퇴 목사로 이곳을 안내하고 있는 벤하르트 구울 씨(75)는 “매년 20만 명 이상이 이곳을 찾는다. 이 교회야말로 루터로 상징되는 종교개혁의 시발점”이라고 말했다.

법학을 공부하다 신학으로 길을 바꾼 34세의 시골 신부는 세상을 지배하던 교황청을 상대로 계란으로 바위를 친다는 표현을 쓸 수밖에 없는 의문을 제기했다.

그렇다면 루터는 어떤 사람이었을까. 이 논제들을 교회에 붙인 것이 전면적인 투쟁의 신호는 아니었다. 취재를 동행한 프랑크푸르트 근교 슈발바흐 성령교회 신국일 목사(56)는 “논제를 교회에 붙이는 것은 ‘한번 토론해 보자’는 당시 관행”이라며 “어쩌면 루터 스스로도 95개 논제가 거대한 종교개혁의 불씨가 될 줄은 예측하지 못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구텐베르크의 인쇄술은 그의 주장을, 당시로서는 너무나 빠르게 유럽 전역으로 전파했다. 신앙의 개혁을 주장하는 이 종이들은 교회 중심의 세계를 흔드는 폭탄이 됐고, 어쩔 수 없이 그는 논쟁의 중심에 서게 됐다.

○ 번개 속의 서원(誓願)과 탑의 깨달음

루터가 95개항 논제를 내걸었던 독일 비텐베르크 성 교회. 지금도 매년 20만 명 이상이 이곳을 찾아 인류에 종교의 자유를 안겨준 그의 정신을 기리고 있다.
비텐베르크=김갑식 기자 dunanworld@donga.com(왼쪽), 비텐베르크 성 교회 바닥의 마르틴 루터 무덤.(오른쪽)
루터가 95개항 논제를 내걸었던 독일 비텐베르크 성 교회. 지금도 매년 20만 명 이상이 이곳을 찾아 인류에 종교의 자유를 안겨준 그의 정신을 기리고 있다. 비텐베르크=김갑식 기자 dunanworld@donga.com(왼쪽), 비텐베르크 성 교회 바닥의 마르틴 루터 무덤.(오른쪽)
루터는 절대적인 힘을 지닌 교회와의 싸움을 이끈 인물답지 않게 심약했다. 신부가 된 계기도 그랬다. 가족을 만나고 돌아오는 길에 폭우를 만난 그는 번개가 바로 옆을 때리자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살려준다면 수도사가 되겠다’고 맹세했다.

6일 찾은 에르푸르트 아우구스틴 수도원. 수도사 루터의 삶을 엿볼 수 있는 곳이다. 수도사들에게는 자기 소유의 공간이 허락되지 않았다. 금욕적 생활을 위해 하루에 두 번 맥주와 빵 한 조각만 주어졌다. 번개, 즉 죽음에 대한 체험적 공포로 인해 인생을 바꾼 그는 이 시기에 하나님이 행하는 ‘의(義)’, 즉 심판하는 하나님에 대한 끊임없는 질문과 공포에 시달렸다.

그러던 중 1513∼1515년 수도원 탑의 한 방에서 새로운 깨달음을 얻었다고 그는 고백했다. “한번은 내가 이 탑 속에서 ‘의인은 그의 믿음으로 살 것이다’라는 말씀과 ‘하나님의 의’에 대해 깊이 묵상했을 때, 곧 이런 생각이 들었다…하나님의 의는 우리가 그리스도를 통해 의롭게 되고 구원을 받는다는 사실에 그 본질이 있다.”

그는 1532년 ‘탁상담화’를 통해 무섭게 심판하는 하나님이 아니라 용납하고 사랑하는 하나님으로 이해하게 됐다고 말한다. 그가 종교개혁의 십자가를 지게 된 신앙적 이유다. 그의 삶은 오직 ‘하나님의 말씀으로’라는 명제를 따랐다. 자신의 신학적 믿음을 회개와 반성으로 다지는 삶의 연속이었다. 교회의 물질화와 권력화로 세상의 염려를 받고 있는 오늘날 한국 개신교계가 돌아봐야 할 개신교 신앙의 원형이다.

○ 주여, 나를 도우소서!

루터에 앞서 보헤미아에는 종교개혁을 주장하다 화형당한 얀 후스(1369∼1415)가 있었다. 공교롭게도 그는 마지막 순간 “거위는 죽지만 100년 뒤에는 백조가 난다”는 말을 남긴 것으로 전해진다. 후스라는 이름의 어원이 거위이고, 100여 년 뒤 95개 논제를 주장한 루터는 백조라는 해석이 나온다. 아이슬레벤의 루터 생가에도 이 관계를 암시하는 상징물이 전시돼 있다.

1520년 6월 파문 칙서를 받은 루터는 이듬해 4월 신성로마제국의 보름스 제국회의에 출석한다. 여기서도 그의 주장이 받아들여지지 않는다면 기다리는 것은 종교적 죽음에 이어 법률로부터도 보호받을 수 없는 세속적인 죽음뿐이었을 것이다.

그러나 루터는 후스와 달리 교황권에 맞서던 제후들의 이해관계에 따른 도움으로 종교개혁을 주도할 수 있었다. 당시에는 많은 제후가 모여 루터의 말에 귀를 기울였을 터이지만 현재의 보름스에서는 그 흔적을 찾기가 쉽지 않다. 작은 표지석만 남아 있었다. 하루의 시간을 달라고 요청한 뒤 남긴 그의 말은 500년 가까운 세월을 뛰어넘어 요즘에도 유효하다.

“저는 어떠한 것도 취소할 수 없으며 할 의지도 없습니다. 왜냐하면 양심에 반해 행동하는 것은 불확실한 것이며 구원을 위협하는 일이기 때문입니다. 주여, 나를 도우소서, 아멘.”

비텐베르크·에르푸르트·아이슬레벤=김갑식 기자 dunanworld@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