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이야기]<1054>今王이 亦一怒而安天下之民하시면…

  • Array
  • 입력 2010년 12월 23일 03시 00분


코멘트
위에서 王은 맹자가 遊說(유세)하는 대상인 제나라 宣王(선왕)이다. 民惟恐王之好不勇也는 혹 一怒安民의 大勇을 왕이 좋아하지 않을까 봐 백성들이 염려하게 될 정도에 이른다는 뜻이다.

군주도 인간인지라 血氣(혈기)에 휘둘려 小勇을 부릴 수 있다. 하지만 맹자는 小勇을 부리지 말고 大勇을 발휘하라고 했다. 大勇이란 무엇인가. 맹자는 ‘시경’에 나오는 주나라 文王(문왕)의 사례와 ‘서경’에 나오는 武王(무왕)의 사례를 통해서 大勇이란 ‘一怒安民’이란 점을 분명히 했다. ‘시경’ 大雅 ‘皇矣(황의)’편에 보면 文王은 ‘혁연히 노하시어 이에 그 군대를 정돈하여, 阮(완)나라를 침략하러 가는 密(밀)나라 무리를 막아서 주나라의 복을 돈독히 하여 천하의 기대에 부응하셨다’고 했다. 곧, 文王은 외국의 침략군을 저지해서 천하를 안정시켰다.

조선시대에 해외 정벌을 나간 것은 세종 원년(1419년) 6월에 왜구의 본거지인 對馬島(대마도·쓰시마 섬)를 응징한 일이 유일하다. 왜구는 고려 말부터 극성을 부리더니 이 해 5월에는 50여 척의 배로 庇仁浦(비인포)에 들어와 백성 300여 명을 죽이고 노략질을 자행했다. 6월에 상왕(태종)은 三軍都體察使(삼군도체찰사) 李從茂(이종무)에게 병선 227척을 주어 대마도를 정벌하게 했다.

당시 魚變甲(어변갑)이 상왕을 대신하여 지은 ‘征對馬島敎書(정대마도교서)’를 보면 ‘무력만 일삼는 일은 성현이 경계하신 바이지만 죄를 성토하려고 군사를 일으키는 것도 제왕의 부득이한 일이다’라고 전제한 후 ‘생명을 중시하는 나의 마음에 한 사람이라도 살 곳을 잃으면 오히려 천지에 죄를 얻을까 두려워하는데, 하물며 지금 왜구가 제멋대로 탐욕과 해독을 부려서 백성을 살육하여 스스로 하늘의 앙화를 부르니, 그래도 참고 정벌하지 않는다면 나라에 사람이 있다 하겠는가?’라고 했다.

심경호 고려대 한문학과 교수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