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이야기]<1031>老者衣帛食肉하며 黎民이 不飢不寒이요…

  • Array
  • 입력 2010년 11월 22일 03시 00분


코멘트
맹자는 齊(제)나라 宣王(선왕)에게 천하 백성이 제나라로 歸依(귀의)하게 되기를 바란다면 우선 제나라 백성의 생업을 안정시키는 근본정치로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力說(역설)하고 위와 같이 매듭을 지었다. 제선왕을 遊說(유세)하는 마지막 말로 ‘양혜왕·상’의 마지막이기도 하다.

맹자가 제선왕에게 仁政(인정)의 방안으로 제시한 내용은 앞서 보았듯이 맹자 자신이 梁惠王(양혜왕)에게 강조했던 내용과 같았다. 또 맹자는 양혜왕에게 “七十者衣帛食肉하며 黎民이 不飢不寒이요 然而不王者는 未之有也니이다”라고 말했는데 제선왕에게는 七十者를 老者로 바꾸어 말했을 따름이다.

衣帛의 衣는 동사다. 黎民은 冠帽(관모)를 쓰지 않은 검은 머리의 일반 백성을 가리킨다. 然은 앞서의 상황을 되받는 말로 然而는 ‘그러고도’라고 풀이한다. 不王의 王은 동사이다. 未之有는 이제까지 그런 일(그러고서도 不王한 일)이 없었다는 말이다.

‘양혜왕·상’에서 맹자는 양혜왕과 양혜왕의 아들 梁襄王(양양왕), 그리고 제선왕에게 覇功(패공)을 물리치고 王道(왕도)를 실천하라고 권하고 그 방안을 제시했다. 맹자에 따르면 王道의 요점은 짐승을 차마 죽이지 못하는 不忍(불인)의 마음을 미루어나가 백성이 굶주려 죽는 상황을 차마 보지 못하는 不忍의 정치를 행하는 데 있다.

제선왕은 왕도정치를 행하려는 마음이 없지 않았으므로 맹자가 그를 반복해 깨우친 내용이 精密(정밀)하고도 緊切(긴절)하였다. 하지만 제선왕도 功利(공리)의 私慾(사욕)에 사로잡혀 끝내 仁政을 실행하지는 못하였다. 위정자가 私慾 때문에 근본이념을 실현하지 못한다면 정말 탄식하지 않을 수 없다.

심경호 고려대 한문학과 교수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