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이야기]<960>孟子對曰王은 何必曰利잇고 亦有仁義而已矣니이다

  • Array
  • 입력 2010년 8월 11일 03시 00분


코멘트
‘孟子’ ‘梁惠王·上’은 7章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첫 장은 여기에 나오는 어구를 따서 何必曰利章이라 부른다. 양혜왕, 즉 魏나라 제후 앵(앵)과 맹자와의 대화가 이어진다. 맹자가 위나라 수도 大梁(대량)으로 오자 혜왕은 맹자도 다른 사람처럼 富國强兵策을 건의하리라 기대했다. 그러나 맹자의 대답은 뜻밖이었다. “왕은 하필 나라를 이롭게 할 방도만 중시하여 利의 문제를 거론하십니까? 정치는 오로지 仁義를 정착시키고 실현시키는 일이어야 합니다.” 이렇게 대답했다.

對는 윗사람의 질문에 응하여 자기 의견을 말할 때 쓴다. 答보다 강하다. 주자(주희)는 仁義에 대해 仁은 마음의 덕이요 사랑의 원리, 義는 마음의 제재요 일의 마땅함이라고 풀이했다. 而已矣는 강한 단정의 어감을 지닌다.

‘史記’ ‘孟子荀卿列傳(맹자순경열전)’의 첫머리에서 司馬遷(사마천)은 “맹자의 저서를 읽다가 양혜왕이 ‘장차 우리나라를 이롭게 할 방도가 있겠습니까’라고 맹자에게 묻는 대목에 이르자 나는 책을 덮고 탄식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익이야말로 혼란을 낳는 근본 원인이기 때문이다. 공자가 이익에 대해 결코 말하지 않고, 이익으로 행동하면 원한을 초래하는 일이 많다고 경계한 것은 정말로 옳다”고 말했다.

하지만 사마천은 ‘貨殖列傳(화식열전)’을 엮어 경제사상을 논하고 고금의 경제인의 초상을 묘사하고 이렇게 말했다. “가난하게 생활해서 늙은 부모와 허약한 처자를 돌보지 못하고 철마다 조상을 제사지낼 수 없으며 음식과 의복도 기부에 의지할 뿐 스스로 조달할 수 없으면서도 부끄러워하지 않는다면 더는 사람으로 취급할 수가 없다.” 맹자도 인간의 욕망을 무시하지 않았다. 다만 정치는 仁義에 근본을 두어야 한다는 것을 더욱 강조한 것이다.

심경호 고려대 한문학과 교수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