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이야기]<847>天下有道면 則政不在大夫하고 …

  • Array
  • 입력 2010년 3월 5일 03시 00분


코멘트
‘논어’ ‘季氏(계씨)’의 두 번째 장에서 공자는 下剋上(하극상)의 亂世(난세)를 개탄하여 禮樂(예악)을 제정하고 征伐(정벌)을 명하는 일은 천자의 권한이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고서 천하가 안정되면 천자나 제후가 아닌 대부가 政事를 마음대로 할 수 없고, 또 윗사람에게 失政(실정)이 없기 때문에 아랫사람이 非難(비난)할 일도 없다고 말했다. 원문의 庶人은 政事를 맡지 않는 아랫사람을 말한다. 不議는 議論하지 않는다는 말인데 非難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庶人不議는 아랫사람의 입에 재갈을 물려서 말하지 못하게 한다는 뜻이 아니다. 위정자가 정치를 잘못하지 않아서 서민이 失政을 비판하지 않게 된다는 뜻이다. 이것은 ‘泰伯(태백)’편에서 공자가 ‘不在其位(부재기위)하여서는 不謀其政(불모기정)이라’라고 한 것과 다르다. ‘지위에 있지 않으면 그 政事에 대해 논하지 말아야 한다’는 그 말은 정치조직에서 越權(월권)을 방지해야 한다는 의미였다. 그에 비해 庶人不議는 위정자에게 失政이 있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강조한 말이다.

지위 없는 사람이 국정에 대해 논하는 것을 處士橫議(처사횡의)라 한다. 하지만 현대에는 국민 모두가 정치에 참여하므로 국민의 정치적 의사 표시를 橫議로 규정해서는 안 된다. 심지어 옛날에도 諫諍(간쟁)의 북과 誹謗(비방)의 나무가 있었다고 전한다. 곧, 堯(요) 임금은 북을 걸어 두어 정치를 비판하려는 사람은 그것을 치게 했고, 舜(순) 임금은 나무를 세워 놓고 정치의 잘못을 비방하는 말을 쓰게 했다고 한다. 匹夫匹婦(필부필부)의 말도 모두 위에 들리게 하는 것이 이상적인 정치인 것이다.

심경호 고려대 한문학과 교수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