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민주화 세력간 역사적 타협 급하다”

  • 입력 2008년 7월 11일 03시 13분


평화재단이 10일 동아일보 후원으로 서울 중구 태평로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건국 60주년, 통일코리아를 바라보다’를 주제로 개최한 심포지엄에서 본보 김학준 회장(왼쪽에서 두 번째)이 한국 현대사에 대한 성찰과 한민족의 미래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김경제 기자
평화재단이 10일 동아일보 후원으로 서울 중구 태평로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건국 60주년, 통일코리아를 바라보다’를 주제로 개최한 심포지엄에서 본보 김학준 회장(왼쪽에서 두 번째)이 한국 현대사에 대한 성찰과 한민족의 미래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김경제 기자
■ 평화재단 ‘건국 60주년 심포지엄’

한반도 평화체제를 넘어 궁극적으로 도달해야 할 민족적 염원은 통일이다. 건국 60주년을 맞이했지만 통일로 가는 길은 여전히 멀고도 험난해 보인다.

평화재단(이사장 법륜)이 10일 ‘건국 60주년, 통일코리아를 바라보다’를 주제로 심포지엄을 열었다. 동아일보가 후원한 이날 회의에서 발표 및 토론자들은 시간과 공간을 넘나들며 한반도 통일을 전망했다. 남북통일의 문명사적 의미도 논의됐다.

▽“통일에 대한 한국 내 갈등부터 극복하자”=김학준 동아일보 회장은 “대북 정책의 핵심은 북한을 붕괴의 대상으로 보느냐, 평화통일의 협상 대상으로 보느냐에 있다”며 “통일의 방향에 대해 국민적 합의는 있지만 정치지도자들과 사회지도자들이 자기들의 이해관계와 관련해 때로는 말을 바꾸면서까지 접근하기 때문에 갈등이 있다”고 진단했다.

그럼 어떻게 해야 하는가. 대한민국의 이념과 구조를 인정하는 ‘정통적’ 가치를 옹호하려는 세력과 ‘비정통적’ 가치를 중시하는 세력 사이에 ‘역사적 타협’을 해야 한다는 것. 사회자 최상용 고려대 교수는 “산업화 세력과 민주화 세력의 타협이 필요하다는 뜻”이라고 해석했다.

김 회장은 통일을 위해서는 명분의 힘(규범적 힘)과 실용적 힘(경제적 힘)이 필요한데, 명분의 힘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정치지도자들에 대한 도덕적 존경과 소통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북한 체제의 미래를 대비해야=조민 통일연구원 통일정책연구실장은 통일의 상대방인 북한 체제에 대해 비관적인 전망을 했다. “북한의 미래는 불투명하며 변화의 의지가 있는지 회의적이며 세계적 변화에 대한 자세는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는 것.

조 실장은 통일과 관련한 북한 측의 요인으로 비핵화와 개방, 그리고 개혁을 꼽고 “북한은 올해 후반기부터 핵 시설 불능화 수준의 비핵화를 전제로 북-미 협상의 틀을 유지하면서 ‘통제된 개방’ 혹은 ‘개혁 없는 개방’을 추진할 가능성이 높다”고 예상했다.

그는 ‘선(先)평화, 후(後)통일’이라는 한반도 평화체제의 논리에도 불구하고 실패한 국가(failed state)로서의 북한의 실상을 감안하면 통일은 한국의 관점에서 ‘들이닥치는 통일’이나 ‘떠안는 통일’이 될 개연성이 높다고 주장했다.

▽통일로 새로운 문명사 문 열어야=법륜 스님은 한민족 통일을 과거의 청산이 아니라 인류 문명에 비전을 제시하는 계기로 만들자고 촉구했다.

그는 ‘통일코리아’를 만들어 가는 방법으로 원효 사상의 핵심인 화쟁(和諍·화해와 소통의 논리체계를 이르는 한국불교의 평화사상)을 제시했다.

분단 극복의 과정에 한국이 주도권을 잡되 북한이 가진 ‘과거의 일정한 역사적 노력’도 어느 정도 긍정하고 수용해야 한다는 것. 구체적 방법론으로 평화체제와 남북연합을 거친 ‘9도 연방제’(남북을 9도로 해체해 통합) 방안을 제시했다.

이어 법륜 스님은 “우선은 식량난 해소를 위한 대북 식량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신석호 기자 kyle@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