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 앞두고 청년영입 경쟁 뛰어든 여야…86세대 ‘과점’ 해소될까

  • 뉴스1
  • 입력 2020년 1월 14일 07시 09분


코멘트
더불어민주당 인재영입위원회가 지난달 29일 영입인재 발표식을 열고 있다. © News1
더불어민주당 인재영입위원회가 지난달 29일 영입인재 발표식을 열고 있다. © News1
정치권이 올해 4·15 총선을 앞두고 20~30대 청년 인재영입에 경쟁적으로 나서고 있다.

86세대의 과점으로 정치판에서 설 자리가 좁아진 청년층 영입을 대대적으로 알리며 세대교체에 시동을 걸고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이러한 청년 인재영입이 총선을 앞둔 일회성 행사에 그칠 수 있다는 우려도 적지 않다.

이 때문에 외부영입보다는 청년들이 각 당내에서 꾸준히 목소리를 키우고 입지를 확대할 수 있도록 기성세대인 86세대 정치인들이 발판을 마련해줘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총선을 앞두고 더불어민주당과 자유한국당이 최근 잇따라 발표한 영입인재 가운데 만 45세 미만 청년 비율은 각각 57%, 100%다. 민주당이 현재까지 배출한 총 7명의 외부 영입인재를 세대별로 구분하면 Δ20대 1명 Δ30대 1명 Δ40대 2명 Δ50대 2명 Δ60대 1명 등이다. 한국당은 Δ20대 1명 Δ30대 1명 Δ40대 1명을 발표했다.

이는 총선을 앞두고 선제적으로 ‘젊은 피’를 수혈해 세대교체 바람을 주도하려는 의도로 읽힌다. 20대 국회가 ‘역대 최악의 국회’라는 오명을 얻은 상황에서 현역 국회의원을 대폭 교체해야 한다는 여론에 따르는 결과이기도 하다.

뉴스1이 여론조사전문업체 엠브레인에 의뢰해 지난달 13~14일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20대 국회의원 교체폭에 대해 응답자의 55.2%는 ‘대폭 교체’, 30.1%는 ‘중폭 교체’를 원한다고 답했다. ‘소폭 교체’와 ‘교체될 필요가 없다’는 응답은 각각 9.1%, 2.1%에 그쳤으며 ‘잘모름·무응답’은 3.5%였다.

이 때문에 정치권의 청년 영입 시도에 대해 일단 긍정적인 평가가 나온다. 청년인재 영입으로 대외적인 이미지를 쇄신하고 선거연령 하향에 따른 젊은 유권자의 표심을 동시에 공략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특히 86세대의 정치권 ‘과점’으로 50~60대는 과대 대표된 반면 이에 밀린 청년층이 과소 대표된 상황에서 청년들의 정치 참여를 높여야 한다는 주장은 힘을 얻는 양상이다. 86세대가 1990년대를 기점으로 정치권에 활발하게 진출하며 주도권을 거머쥔 것과 달리 현재의 20~30대 청년세대는 정치판에서 거의 사라졌다는 것이다.

자유한국당 지도부가 지난 13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2020 인재영입 환영식에서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 © News1
자유한국당 지도부가 지난 13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2020 인재영입 환영식에서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 © News1
실제 86세대 당선자수를 따져보면 Δ이들이 30대였던 1996년 총선에서 10명(3%) Δ40대에 진입한 2004년 총선에서 106명(35%) Δ50대가 된 2016년 총선에서 161명(54%)였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들의 비율이 커진 만큼 아랫세대는 2016년 총선에서 20대 1명(1% 미만), 30대 2명(1% 미만), 40대는 50명(17%)의 당선자를 배출하는데 그쳤다.

이철승 서강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는 지난해 내놓은 ‘386세대의 집권과 불평등의 확대’ 논문에서 “정치·경제의 위계체제에서 386세대의 상층 독점이 장기화하면서 ‘세대교체의 룰’이 무너지고 있다”며 “청년세대의 소득과 주거의 빈곤화, 자산의 양극화를 지적하는 연구들은 86세대의 대기업 노조가 만들어낸 노동시장 이중화의 최대 피해자들이 동시대 청년들이라는 것을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20대와 30대가 정치권에 뛰어 들어 청년실업과 고용문제를 직접 해결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는 배경이다.

그러나 정치권에선 각 정당의 청년 정치인 양성이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는 우려가 지배적이다. 민주당과 한국당이 야심차게 발표한 외부 인재영입 역시 청년들의 정치 참여의 한계를 고스란히 드러냈다는 지적이 나온다.

강주현 숙명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통화에서 “청년층 인재영입은 청년들의 정치 참여를 확대한다는 측면에서 상징적이며 유권자들의 관심도 고취시킬 수 있다고 본다”며 “다만 청년층 유권자들이 이렇게 영입된 한두명의 인재들을 두고 자신을 대표해 국회에서 다양한 갈등과 쟁점을 해소할 수 있다고 기대할지는 의문”이라고 전했다.

이 때문에 총선을 눈앞에 두고 인재영입을 서둘러 발표하기보다는 기성 정치인들이 당내에서 청년들의 정치권 진출을 돕는 육성책을 보강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김병민 경희대 행정학과 겸임교수는 통화에서 “20년전 세대교체 바람을 일으키며 정치권에 입성한 뒤 이제는 기성세대가 된 86세대들에게 후속 세대를 제대로 양성하지 못한 책임이 있다”며 “지역민생 현안은 물론 거시적인 경제, 정치, 안보, 사회 문제를 두루 해결할 수 있도록 자질을 갖춘 청년 정치인을 배출하는 인재육성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