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찬식 칼럼]일본에서 본 북방 4도와 독도

  • 동아일보
  • 입력 2013년 8월 28일 03시 00분


코멘트

빼앗긴 북방 4도 앞에는 일본인의 애절함이 있었다
독도와 역사 문제도 그런 마음으로 바라본다면…
꽉 막힌 한일 관계 역사 공동연구로 출구 찾아야

홍찬식 수석논설위원
홍찬식 수석논설위원
일본 홋카이도 동부의 라우스 산을 넘어서자 바다가 나타나고 큰 섬 하나가 보였다. 일본이 러시아와 영토 분쟁을 벌이고 있는 북방 4도의 하나인 구나시리 섬이었다. 버스가 남쪽으로 해안선을 따라 달리는 동안 구나시리 섬은 손에 잡힐 듯 계속 시야에 머물러 있었다. 더 남쪽으로 내려가 노삿푸 곶에 이르러서는 역시 북방 4도 중 하나인 하보마이 군도를 볼 수 있었다. 일본의 최동단인 노삿푸 곶에는 북방 4도가 일본 땅임을 알리는 자료관 ‘북방관’과 ‘망향의 집’이 자리 잡고 있었다.

중견 언론인들의 단체인 관훈클럽은 지난주 홋카이도 지역을 답사했다. 출구조차 꽉 막혀버린 한일 관계에 대해 세미나를 갖고, 북방 4도를 통해 영토와 역사 문제를 조망하기 위한 행사였다. 요즘 역사 문제가 뜨겁지만 북방 4도는 우리가 별 관심을 갖지 않는 곳이다. 현지 사정을 살펴볼 수 있는 흔치 않은 기회였다.

1945년 8월 15일 일왕의 항복 선언이 있고 나서 사흘 뒤 소련의 제2극동군은 당시 일본이 실효적 지배를 하고 있던 쿠릴 열도로 내려와 쿠릴 열도의 북쪽 절반을 차지했다. 이와 별개로 소련의 제1극동군은 쿠릴 열도 남쪽에 있는 북방 4도를 8월 28일부터 9월 5일 사이에 점령했다.

북방 4도에 살고 있던 일본인들은 1만7000명이었다. 이들은 소련군에게 정든 고향을 빼앗길 때의 기록을 상세히 남겼다. ‘나는 24세의 교사로 섬의 소학교에서 1학년부터 4학년까지 40명의 학생을 가르치고 있었다. 갑자기 교실 안으로 소련군이 총과 기관총을 우리에게 겨눈 채 들어왔다. 아이들은 공포에 휩싸였다.’ ‘우리 마을은 작은 섬이지만 평화로운 곳이었다. 소련군은 비인도적 행위를 많이 한다는 소식을 접한 터라 같이 살 수는 없었다. 소련군이 들어온 뒤 작은 배를 타고 섬을 탈출하기로 했다.’

일본은 1855년 러시아와 국교를 맺으면서 북방 4도의 소유권을 인정받아 일본인들이 1945년 패전 이전까지 이곳에 거주했다. 90년에 걸쳐 일본의 영토였던 셈이다. 소련은 제2차 세계대전 종전을 앞둔 1945년 2월 얄타 회담에서 연합군에 참여하는 조건으로 쿠릴 열도의 지배권을 얻어냈다. 그리고 북방 4도에 들이닥친 것이다. 이후 소련은 1956년 소일 공동선언에서 북방 4도의 일부를 일본에 반환하겠다는 의향을 밝혔으나 아직까지 달라진 것은 없다.

노삿푸 곶에 설치된 여러 조형물에는 애절한 마음이 담겨 있었다. 일본 각 지방에서 보내온 돌들을 한자리에 깔아 놓은 ‘희망의 길’에는 ‘북방 4도가 반환되는 그날의 길’이라는 설명이 적혀 있었다. 불을 내뿜고 있는 ‘기원의 불’이라는 조형물에는 ‘북방 영토가 조국에 돌아오는 그날까지 모두의 힘으로 불을 이어가자’고 쓰여 있었다. 북방 4도 반환을 요구하는 서명에는 일본 국민의 3분의 2인 8400만 명이 참여했다. 빼앗긴 땅이 바다 건너 10여 km 지척이라 보는 사람의 슬픔과 간절함이 더할지도 몰랐다.

독도와 역사 문제가 생각났다. 일본이 독도를 한국 땅으로 인식해 왔다는 역사적 근거는 수없이 많지만 독도 문제에서 가장 주목할 점은 일본이 러일전쟁 중에 독도를 침탈한 사실이다. 러일전쟁은 한국을 손에 넣기 위해 벌인 싸움이었다. 한국이 자신을 수호할 능력조차 없는 상황에서 독도를 빼앗은 것이다. 이후 독도는 한국인에게 일본의 식민 지배를 상징하는 장소가 됐다. 이런저런 외교적 계산을 떠나 일본인들이 북방 4도를 바라보는 그 마음으로 독도를 볼 수 있다면 독도 문제는 쉽게 해결될 것이다.

하지만 북방 4도 방문에 앞서 열린 세미나에서 홋카이도대학의 야마구치 지로 교수는 한일 관계에 대해 비관적 전망을 내놓았다. 그는 “당분간 일본 쪽에서 동아시아 국가를 상대로 한 관계 회복 움직임은 없을 것”이라며 “일본의 유일한 야당은 미국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일본 내에서는 아베 신조 정권의 역사 인식에 제동을 걸 만한 힘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얘기였다.

해결의 실마리는 상호 이해로부터 찾을 수밖에 없다. 시간이 걸리더라도 한국과 일본의 역사가 겹치는 부분에 대해 인식의 차이를 좁혀 나가야 한다. 숙적 독일과 프랑스, 독일과 폴란드는 공동 역사교과서를 만들며 역사 문제를 풀어나가는 전환점을 마련했다. 독일 프랑스의 공동 역사교과서는 70년이 넘는 줄다리기 끝에 2008년 선을 보였다. 시각이 다른 사안에 대해서는 양쪽 견해를 병기하는 방식을 택했다. 독일과 폴란드의 공동 교과서는 30여 년의 작업 끝에 올해 완성될 예정이다.

한국과 일본도 현재 중단 상태인 한일 역사공동연구위원회를 다시 가동할 필요가 있다. 두 나라가 공동 교과서를 낼 수 있다면 역사인식을 공유하는 기반이 될 것이다. 상대방을 잘 모르고, 이해하려고도 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공존과 평화가 찾아오지 않는다.

홍찬식 수석논설위원 chansik@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