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 포인트

연재

임용한의 전쟁사

기사 317

구독 162

인기 기사

날짜선택
  • 운문사와 화랑의 탄생[임용한의 전쟁사]〈152〉

    운문사와 화랑의 탄생[임용한의 전쟁사]〈152〉

    경북 청도군에 소재한 운문사는 신라시대에 창건된 유서 깊은 사찰이다. 현재는 비구니 전문 강원으로 운문승가대학이 자리 잡고 있어 웅장하면서도 정숙한 분위기를 유지하고 있다. 운문사는 오랜 세월 군사적으로 중요한 곳이었다. 삼국시대에 이곳에는 5개의 사찰이 포진해 있었는데, 원광법사가 …

    • 2021-03-09
    • 좋아요
    • 코멘트
  • 비극이 벌어진 이유[임용한의 전쟁사]〈151〉

    비극이 벌어진 이유[임용한의 전쟁사]〈151〉

    1919년 3월 1일 서울에서 벌어진 시위는 이내 전국으로 확대되었다. 지방에서도 조직적인 시위가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시위가 장기화하면서 필연적으로 과격해졌고 충돌이 발생했다. 일본 군경이 시위대를 향해 발포를 시작했다. 4월까지 벌어진 시위에서 발생한 사상자 수는 정확하지 않다.…

    • 2021-03-02
    • 좋아요
    • 코멘트
  • 경계에 실패한 지휘관[임용한의 전쟁史]〈150〉

    경계에 실패한 지휘관[임용한의 전쟁史]〈150〉

    정묘호란 당시 의주성을 지키던 장수는 이순신 장군의 조카 이완이었다. 이순신 장군을 따라 임진왜란에 종군한 덕에 실전 경험도 풍부했고, 이순신 장군의 통솔법을 배워 엄하면서도 용기 있고, 책임감이 투철한 리더였다. 조정에서도 이런 능력을 높이 평가해 의주성을 지킬 장수는 이완이 아니면…

    • 2021-02-23
    • 좋아요
    • 코멘트
  • 러일전쟁의 희생자[임용한의 전쟁史]〈149〉

    러일전쟁의 희생자[임용한의 전쟁史]〈149〉

    19세기 말 청일전쟁에서 일본이 승리해서 랴오둥반도를 할양받자 러시아는 소위 삼국간섭을 통해 이 조치를 철회하고 자신이 차지했다. 그리고 뤼순항을 요새화하기 시작한다. 분노한 일본은 러시아와의 일전을 각오하고 군비 증강에 돌입했다. 이때부터 10년 동안 당시 화폐로 7억 엔이 넘는 투…

    • 2021-02-16
    • 좋아요
    • 코멘트
  • 소금보다 후추[임용한의 전쟁史]〈148〉

    소금보다 후추[임용한의 전쟁史]〈148〉

    가장 기본적 향신료인 소금조차 고대·중세에는 흔하거나 값싼 물건이 아니었다. 성 안에 전략물자를 비축할 때도 소금은 필수 물품이었다. 상업과 무역에서도 주요 상품이었다. 당연히 소금 생산지는 대단히 중요한 전략적 요충지였다. 대항해시대의 향료 전쟁은 소금 전쟁보다 훨씬 대규모이고 국제…

    • 2021-02-09
    • 좋아요
    • 코멘트
  • 나 홀로 자강론[임용한의 전쟁史]〈147〉

    나 홀로 자강론[임용한의 전쟁史]〈147〉

    구한말 조선은 중국, 러시아, 일본, 미국이라는 4대 강국의 틈에서 생존을 모색해야 했다. 오랜 쇄국으로 국제 정세에 문외한이었던 조선은 주일 청나라 공사관 참찬관 황준헌을 만나 자문했다. 이때 황준헌이 김홍집에게 써 준 글이 ‘조선책략’이다. 조선책략의 요지는 “현재 조선을 위협하는…

    • 2021-02-02
    • 좋아요
    • 코멘트
  • 선의를 실현시키려면[임용한의 전쟁史]〈146〉

    선의를 실현시키려면[임용한의 전쟁史]〈146〉

    누르하치가 푸순을 점령하고, 명나라 세력을 요동에서 몰아내려고 하자 명은 전력을 기울여 누르하치를 공격했다. 참전을 요청받은 조선은 1만 명이 넘는 대병력을 파병한다. 1619년에 벌어진 사르후 전투에서 명의 대군이 처참하게 패배하면서 만주를 상실하고, 결국은 멸망했다. 조선군은 유정…

    • 2021-01-26
    • 좋아요
    • 코멘트
  • 관료주의의 망령[임용한의 전쟁史]〈145〉

    관료주의의 망령[임용한의 전쟁史]〈145〉

    임진왜란 기록에 자주 등장하는 표현이 있다. 정찰병을 보내지 않아 적이 다가오는 줄 몰랐다. 경계병을 세우지 않아 야간 기습에 당했다. 임란 후반기에 선조가 이런 한탄을 한다. “전쟁 초기라면 실전 경험이 없으니 그럴 수도 있다. 도대체 전쟁이 몇 년째인데, 달라진 게 없는가.” 40…

    • 2021-01-19
    • 좋아요
    • 코멘트
  • 기록을 지배하는 것[임용한의 전쟁史] <144>

    기록을 지배하는 것[임용한의 전쟁史] <144>

    조선시대에 과거에 급제해서 문관으로 살아간다고 해도 문무 겸비는 기본이었다. 야전에서 전투를 벌이는 능력은 없다고 해도 병서를 읽고, 군을 지휘하고, 동원·병참 등 군사행정을 처리할 줄은 알아야 했다. 남원의 선비였던 조경남은 임진왜란, 정묘·병자호란을 모두 겪었다. 임란 때는 의…

    • 2021-01-12
    • 좋아요
    • 코멘트
  • 정치가 지닌 분노[임용한의 전쟁史]〈143〉

    정치가 지닌 분노[임용한의 전쟁史]〈143〉

    한 교수님의 수업시간에 들은 이야기이다. 어떤 분이 약혼녀를 데리고 시골집에 인사를 갔다. 할아버지는 손자 며느릿감을 보고 아주 흡족해하셨다. 그러다가 성(姓)과 집안을 물어보더니 “이 결혼은 절대 안 된다”고 호통을 쳤다. 여성분 집안이 조선시대 당쟁의 라이벌 집안이라는 것이었다. …

    • 2021-01-05
    • 좋아요
    • 코멘트
  • 현재와 소통하는 과거[임용한의 전쟁史]〈142〉

    현재와 소통하는 과거[임용한의 전쟁史]〈142〉

    영국에는 임피리얼 전쟁박물관(IWM·Imperial War Museum)이라고 불리는 전쟁기념관이 여러 개 있다. 우리의 전쟁기념관 같은 종합적인 IWM은 런던 케닝턴에 있다. 다른 곳들은 전함, 탱크, 항공기 등 주제별로 특화됐다. 맨체스터에도 IWM이 있는데, 이곳은 제1차 세계대…

    • 2020-12-29
    • 좋아요
    • 코멘트
  • 이름 없는 백성들[임용한의 전쟁史]〈141〉

    이름 없는 백성들[임용한의 전쟁史]〈141〉

    한 해가 저물어 간다. 세밑에 돌이켜 보면 세상은 항상 힘들고, 어렵고, 무언가가 잘못되어 있었다. 그래서 더더욱 연말연시가 되면 인정을 나누고, 따뜻한 한마디를 던지려고 노력하는 것 같다. 올해 연말은 그런 노력이 죄스럽게 느껴진다. 끝나지 않은 고통이 더 크게 입을 벌리고, 새해를…

    • 2020-12-22
    • 좋아요
    • 코멘트
  • 바이러스와의 대결[임용한의 전쟁史]〈140〉

    바이러스와의 대결[임용한의 전쟁史]〈140〉

    미국이 막 독립했던 19세기 초, 미국의 영토는 동부 연안 지역에 불과했다. 대통령 토머스 제퍼슨은 서부 탐험대 조직을 명령한다. 책임자는 메리웨더 루이스와 윌리엄 클라크였다. 1804년부터 1806년까지 2년 동안 로키산맥을 넘어 태평양 연안까지 도달하는 장대한 여정을 떠난다. 여정…

    • 2020-12-15
    • 좋아요
    • 코멘트
  • 리더의 가장 무서운 적[임용한의 전쟁史]〈139〉

    리더의 가장 무서운 적[임용한의 전쟁史]〈139〉

    1812년 6월 24일, 어느 목격자의 말에 따르면 일찍이 본 적이 없는 찬란한 군대가 행진을 시작했다. 나폴레옹이 지휘하는 러시아 침공군이었다. 병력은 최소 30만 명. 프랑스뿐만이 아니라 나폴레옹의 통제하에 있던 유럽 여러 나라에서 징집한 유럽연합군이었다. 휘황찬란했던 군대는 …

    • 2020-12-08
    • 좋아요
    • 코멘트
  • 의무 다한 정발[임용한의 전쟁史]〈138〉

    의무 다한 정발[임용한의 전쟁史]〈138〉

    1592년 4월 13일 영도에서 사냥 중이던 부산진 첨사 정발은 수평선 너머로 새까맣게 나타난 배들을 발견했다. 고니시 유키나가가 지휘하는 일본의 침공함대 제1진이었다. 이것이 임진왜란의 시작이다. 즉시 성으로 돌아간 정발은 군병을 소집하고, 주민을 성 안으로 대피시켰다. 몇 척 …

    • 2020-12-01
    • 좋아요
    • 코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