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련복 지급도 빠듯한 여자농구… 한해 협찬금 300억 넘는 축구협회[인사이드&인사이트]

  • 동아일보
  • 입력 2020년 2월 26일 03시 00분


코멘트

체육단체 종목별 재정 양극화

7월 개막하는 2020 도쿄 올림픽을 앞두고 스포츠 종목별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새삼 조명되고 있다. 인기가 많은 한국 축구 국가대표팀은 연간 수백억 원의 후원을 받는 반면 최근 여자 농구 대표팀은 넉넉지 못한 살림 때문에 선수들에게 제대로 된 지원을 해 주지 못했다. 그나마 협찬금(후원금)을 받는 대한민국농구협회와 달리 2018년 대한체육회 조사 결과 협찬금을 한 푼도 받지 못하는 종목 단체가(65개)의 41.5%인 27개에 이른다. 대한축구협회·대한민국농구협회 제공
7월 개막하는 2020 도쿄 올림픽을 앞두고 스포츠 종목별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새삼 조명되고 있다. 인기가 많은 한국 축구 국가대표팀은 연간 수백억 원의 후원을 받는 반면 최근 여자 농구 대표팀은 넉넉지 못한 살림 때문에 선수들에게 제대로 된 지원을 해 주지 못했다. 그나마 협찬금(후원금)을 받는 대한민국농구협회와 달리 2018년 대한체육회 조사 결과 협찬금을 한 푼도 받지 못하는 종목 단체가(65개)의 41.5%인 27개에 이른다. 대한축구협회·대한민국농구협회 제공
올해 12년 만에 올림픽 본선에 진출한 한국 여자 농구 대표팀은 마냥 기뻐할 수만은 없었다. 대표팀 감독의 무리한 선수 기용 방식도 논란을 일으켰지만 대한민국농구협회의 허술한 지원이 도마에 올랐다. 대표팀 막내 박지수는 “훈련복이 오전 오후 2벌만 나온다. 이런 말까지 해야 하는 게 민망하다”고 했다. 농구협회는 “주어진 예산 안에서는 최대한 지원하고 있다”고 말했지만 이번 일은 농구협회의 넉넉하지 못한 살림을 보여주는 계기가 됐다.

반면 대한축구협회는 최근 나이키와 12년간 2400억 원 규모의 후원 계약을 맺었다. 현금 및 물품 지원 계약이다. 성인 대표팀은 물론 23세 이하 올림픽 대표팀 등 연령별 대표선수들의 신체 치수를 모두 재어 몸에 맞는 유니폼을 제공한다. “나이키는 대표팀 소집 때마다 안방 및 방문경기 유니폼 각각 2벌 총 4벌의 유니폼을 기본으로 지원한다. 훈련복에 대해 따로 정해진 규정은 없지만 사실상 필요한 만큼 얼마든지 지원한다”는 것이 축구협회 관계자의 설명이다. 나이키가 제공하는 유니폼은 한국과 브라질 등 세계 5개국에만 제공되는 최고급 소재로 만들어진다.

겉으로 드러나는 유니폼뿐만 아니라 국내 체육단체들의 재정 상태는 종목별로 큰 차이를 보이며 빈익빈 부익부 현상을 나타내고 있다. 살림살이에서 비롯된 선수들에 대한 지원 차이는 사기에도 영향을 주고 올림픽 성적과도 직결된다는 분석이 나온다.

○ 728억 원 vs 1억 원 …커지는 빈부 격차

국내 체육 현장 업무를 총괄하는 대한체육회에는 현재 61개의 정회원 종목과 6개의 준회원 종목이 있다. 대한체육회가 이 중 65개 종목(준회원 종목 2개 제외)의 2018년 재정자립도를 파악한 결과 평균 47.78%였다. 한 해 동안 사용한 총액 중 정부 보조금이나 대한체육회의 지원금을 제외하고 순수하게 자체 수익을 통해 충당한 결산 수입(자체 수입+이월금)의 비율이다. 이 중 24개 종목은 재정자립도가 38%대 이하였다. 재정자립도가 가장 낮은 곳은 6.32%였고 10%대에 머문 종목도 6개였다. 이 종목들은 지출액의 90% 이상을 외부 지원금에 의존했다는 뜻이다.

체육회에 따르면 축구협회의 2018년 자체 수입 총액이 약 728억 원으로 1위였다. 이해에 약 955억 원을 쓴 축구협회의 재정자립도는 76.26%였다. 축구협회의 경우 협찬금(후원금) 약 317억 원과 중계료 약 133억 원이 주 수입원으로 파악됐다.

반면 자체 수입 총액이 10억 원 미만인 곳이 31개 종목에 달했다. 이 중에는 1억 원 미만(약 8860만 원)인 곳도 있었고 1억 원대에 그친 곳도 4곳이었다. 자체 수입의 주 요소인 협찬금의 경우 축구협회가 300억 원 이상을 받은 반면 협찬금이 0원인 종목은 27개로 조사 대상의 3분의 1을 넘었다. 2015년부터 2018년까지 4년간 종목별 재정자립도 추이를 보면 절반 가까운 32곳이 조사를 시작한 2015년보다 재정자립도가 나아지지 못했다. 이 때문에 기본 인건비도 부담된다는 곳들이 있다. 대한체육회가 종목별 3∼9명의 인건비를 기본으로 제공하고 있지만 나머지는 자체 해결해야 한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회장님이 바뀌거나 사정이 급해지면 인건비 걱정부터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이런 상황에서는 선수들에 대한 지원이 빠듯할 수밖에 없다. 대표팀 운영 부대비용이나 해외 대회 출전 관련 비용 등은 경비 절감이라는 이유로 우선 삭감 대상이 되기도 한다.

○ 올림픽 앞두고 표정 엇갈리는 태극 전사

대한체육회는 7월 도쿄 올림픽을 앞두고 각 종목 훈련비와 사업비 등을 지원한다. 종목마다 기본 훈련은 소화하고 있지만 차이는 지원받은 예산 외의 추가 훈련비용이나 선수들에 대한 각종 복지 지원 등에서 나타난다. 올해 초 일본으로 올림픽 전지훈련을 다녀온 한 관계자는 “해외 훈련을 많이 갈수록 경기력이 좋아지는 건 사실이라 내심 그렇게 하고 싶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꼭 필요한 만큼만 했다”고 말했다. 지난 올림픽에서 한 개의 메달도 따지 못했던 다른 종목 관계자는 “되도록이면 주어진 예산 내에서 쓰고 모자라면 다음 예산 책정 때 다시 요청하는 경우도 있지만 안 나올 때도 있다”고 설명했다.

그나마 대기업을 회장사로 둔 종목들은 주위의 부러움을 사고 있다. 꾸준하고 안정적인 지원 때문이다. 최신원 SK네트웍스 회장이 이끄는 대한펜싱협회 측은 “종전 3억∼5억 원 수준이던 회장사 출연금이 2012년 런던 올림픽을 앞두고 연간 20억 원 규모로 늘었고 이후 비슷한 규모를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의료, 전력 분석, 코치진 등을 살펴볼 때 규모, 계약 조건, 처우 등 여러 면에서 다른 종목보다 낫다는 평가다. 한국은 한때 펜싱 불모지로 불렸지만 지난 몇 년간 비약적인 성장을 통해 2012년 런던 올림픽 금 2개, 은 1개, 동메달 3개, 2016년 리우 올림픽 금 1개, 동메달 1개의 성과를 냈다. 펜싱은 도쿄 올림픽에서도 한국의 메달밭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양궁의 경우 1985년 정몽구 대한양궁협회장 취임 이후 현 정의선 회장까지 현대차 그룹이 30년 이상 대를 이어 후원하고 있다. 그동안 한국 양궁은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이후 2016년 리우 올림픽까지 금 23개, 은 9개, 동메달 7개를 획득했다. 리우 올림픽에서는 전 종목(금 4개)을 석권했다. 체육회에 따르면 양궁협회의 지난 4년 평균 재정자립도는 75.85%로 안정됐다.

양궁협회는 이번 올림픽을 앞두고도 전자표적 개발, 슈팅머신 개발 등 각종 첨단장비를 도입해 선수단을 돕고 있다. 양궁 대표팀은 지난달 중순부터 보름가량 한여름 도쿄와 비슷한 기후 환경인 미얀마에서 전지훈련을 하기도 했다. 이전 올림픽과 마찬가지로 도쿄 올림픽에서도 선수들의 휴게 공간을 따로 마련하고 식사 등을 별도로 제공하는 등 현장 지원도 아끼지 않을 계획이다.

각 종목에서는 기업들이 좀 더 적극적으로 후원해 주기를 바라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다른 종목 관계자는 “최근 경기가 좋지 않아 기업 후원이 줄고 있다. 현금 대신 물품으로 하는 경우가 많고 그마저도 많이 줄었다”고 했다.

많은 종목들이 재정자립에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이들을 지원하는 대한체육회의 재정자립도 또한 낮다. 올해 3940억 원의 예산을 편성한 대한체육회는 이 중 약 96%를 국민체육진흥공단에서 지원 받는다. 대한체육회는 서울 중구에 위치한 체육회관 건물 임대료, 태릉선수촌 스케이트장 운영 및 올림픽 관련 기업들의 후원금 등 자체 수입으로 4%를 조달할 뿐이다. 산술적으로 따지면 대한체육회의 재정자립도는 4%에 불과하다.

결국 인기 종목이나 대기업 후원을 받는 일부 종목을 빼면 대부분 빠듯한 살림살이를 이어가고 있다.

○ 자체 수익 구조 늘리려면

체육계가 재정자립을 이루어야만 자율성을 확보하고 경기력도 향상된다는 목소리가 나온 지는 오래됐다. 특정 인물이 재정을 좌지우지하며 종목의 사활을 쥐게 될 경우 조직이 사유화될 수 있다는 염려다.

수익 구조 개선을 위해 체육회는 공단으로부터 받는 체육진흥투표권(스포츠토토)의 수익금을 더 돌려 달라고 주장한다. 지금까지 공단은 스포츠토토 수익금으로 조성된 기금의 20∼30%를 체육회에 지원했다. 체육회는 이를 50%까지 늘려 달라는 의견이다. 2018년 스포츠토토 수익금이 약 1조4000억 원이었으므로 이 중 절반을 지원한다면 약 7000억 원이다. 현재 지원 규모의 약 두 배다. 김보영 대한체육회 홍보실장은 “늘어난 지원금으로 각종 수익 사업을 벌여 체육회의 재정자립도를 높이고 점차 공단 의존도를 줄이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공단이나 문화체육관광부 측에서는 체육회가 이 돈을 엄격하고 투명하게 관리할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을 나타내고 있다.

궁극적으로는 개별 종목의 수익구조를 개선하는 것이 중요하다. 문체부 관계자는 “수익모델 창출을 위한 종목별 컨설팅을 진행하고 수익 아이템을 발굴해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현장에서는 수익 관련 사업에 익숙하지 않은 종목들이 당장 성과를 내기는 어렵고, 장기적으로 각 종목에 대한 일반인들의 관심과 참여가 높아져야 수익 창출이 가능하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이를 위해 공공 스포츠클럽 및 생활체육 프로그램 등에서 몇몇 종목에 치우치지 말고 다양한 종목에 대한 체험 기회와 정보를 꾸준히 제공해야 한다. 당장 이번 올림픽에서도 성적을 떠나 보다 많은 종목에 대한 관심을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오는 이유다.
 
이원홍 전문기자 bluesky@donga.com·이헌재·조응형 기자
#국내 체육단체#재정 양극화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