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인균의 우울증 이기기]마음의 문을 여는 열쇠, ‘공감 능력’

  • Array
  • 입력 2013년 3월 19일 03시 00분


코멘트
류인균 이화여대 약대 석좌교수 정신건강의학과 의사
류인균 이화여대 약대 석좌교수 정신건강의학과 의사
영화 ‘아마데우스’의 모차르트는 타고난 재능에 순수하고 심성도 착한 쪽에 가깝다. 그런데 그는 늘 갈등에 휘말리고 역경에 처한다.

살리에리는 지독하게 모차르트를 시기하고 미워한다. 영화가 살리에리의 시선으로만 모차르트를 바라봐서일까. 관객들도 살리에리와 마찬가지로 모차르트의 ‘눈치 없이’ 착하기만 한 행동과 주변 사람에 대한 무신경함이 거슬린다.

우리는 이처럼 ‘상대방에게 잘 이해받지 못한다’고 느끼면 상대방이 호의에서 한 행동이나 말도 기쁘기는커녕 오히려 서운해진다. 반대로 좋은 의미로 한 말인데도 상대로부터 생각지 못한 오해를 사기도 한다.

서로에 대한 깊은 이해가 없는 소통은 대개 감동으로 이어지지 못한다. 칭찬은 고래를 춤추게 하지만 인간은 자신을 제대로 이해해준 칭찬에만 춤을 춘다.

이탈리아 파르마대 연구팀은 1990년대 중반 원숭이 실험을 통해 매우 흥미로운 현상을 발견했다.

원숭이가 바나나를 잡는 행동을 보자. 바나나를 잡을 때 원숭이는 바나나를 보고, 음식이라고 느끼고, 또 먹기 위해 손을 내미는 복잡한 일련의 과정을 거친다. 이 과정에서 원숭이의 특정 뇌 영역이 활성화된다고 한다.

그런데 연구진은 놀라운 현상을 발견했다. 원숭이는 다른 원숭이가 바나나 잡는 것을 지켜보기만 해도 자신이 잡았을 때와 비슷한 부분의 뇌 영역이 활성화된 것이다. 사람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유사한 현상이 관찰됐다. 바늘에 손가락이 찔리는 사진을 보여주었더니 실제 바늘로 찔리는 통증을 경험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비슷한 부분의 뇌 영역이 활성화됐다. 생각할수록 신기한 일이다.

‘거울 뉴런(mirror neuron)’이라고 불리는 이 신경조직은 직접 경험하지 않아도 꼭 자신이 경험하는 것같이 뇌가 반응하고 느끼게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우리가 흔히 ‘공감(empathy)’이라고 말하는 일련의 과정은 자신이 직접 경험하지 않아도 다른 사람의 경험과 감정을 나누고 느낄 수 있는 뇌의 작용이다. 자녀가 수술을 받을 때 어머니가 가슴통증을 느끼듯 신체적으로 아픈 것처럼, 어깨가 축 처진 아버지의 뒷모습에서 자식이 안타까움을 느끼는 것처럼, 직접 겪고 있지는 않지만 상대의 아픔과 실망을 함께 느끼는 듯한 경험을 한다. 우리는 이것을 공감이라고 한다.

공감을 하는 순간 우리 뇌에서는 ‘거울 뉴런’ 시스템과 같은 일련의 뇌기능이 순차적으로 조화롭게 작용을 한다.

그런데 다른 사람의 감정에 대한 공감의 정도는 사람마다 다르다. 내가 경험하지 않아도 상대방의 감정을 잘 이해할 수 있고 느낄 수 있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어떤 경우에는 나 아닌 상대방에 대해 관심이 없거나 설령 관심이 있어도 정확히 알아채지 못하는 때도 있다.

공감을 잘하고 못하고는 선함과 악함 혹은 호의와 악의에 의한 감정이라기보다 일종의 능력으로 보아야 한다. 평생을 어려운 사람에 대한 연민으로 헌신적인 삶을 산 테레사 수녀 같은 이들의 공감 능력은 아무래도 우리 같은 평범한 사람들의 능력과는 많이 다를 것이다.

중요한 사실은 ‘공감 능력’이 상대방의 신뢰와 믿음을 얻게 한다는 것이다. 우리가 나를 잘 이해해주고, 나의 아픔을 같이 아파해주는 사람을 만났을 때 그에게 호감을 갖는 것처럼 말이다.

공감 능력은 타고나기도 하지만 다행스럽게도 어느 정도는 노력하고 훈련하면 좋아질 수 있다. 물론 자신이 겪어본 경험이나 느껴본 적이 있는 감정에는 쉽게 공감할 수 있지만 한 번도 경험해보지 못한 상황이나 감정에는 쉽게 공감하기 어렵다. 임신한 아내의 심리적인 불안을 잘 이해하지 못하는 남편들을 보면 이해되는 면도 있다.

아이들 역시 마찬가지다. 고리타분한 부모의 생각을 공감하기 어렵다. 부모 또한 아이들의 반항심에 공감하기 어렵다. 그러고 보면 세상에는 공감할 수 있는 것보다 공감하기 어려운 것이 더 많은 것 같다. 어쩌면 본질적으로는 나와 다른 모든 것에 공감하기 어려운 것인지도 모른다.

내가 경험하지 못한 것에 대해 뇌가 공감하게 하려면, 그 경험에 대해 잘 관찰하고 또 이해하려는 인지적인 노력이 전제되어야 한다. 임신한 아내의 행동을 꼼꼼히 관찰해야 하고, 아이의 말을 유심히 들어야 한다. 우선 인지적으로 잘 알고 머릿속으로 잘 그릴 수 있을 정도가 되어야 아내의 느낌과 아이의 감정을 나의 뇌가 느낄 수 있다. 그들 역시나 내가 자신들을 공감하고 있다는 것을 느낄 때만 진심으로 내게 마음을 열게 된다. 내가 공감해야만 나를 신뢰하기 시작한다는 말이다.

‘왜 나에게만 이런 나쁜 일이 생길까’, ‘왜 저 사람은 나만 미워할까’라는 생각이 들 수도 있다. ‘나는 재능도 많고 누구보다 노력도 많이 하는데 남들은 그런 나를 알아주지 않는 것 같다’고 호소하는 직장인도 많다. 그래서 우울해지기도 한다.

하지만 바꾸어 생각하면 자신이 주위 사람들을 잘 이해하지 못하거나 제대로 공감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무신경하게 넘어가는 많은 것이 상대방의 마음을 닫게 하고, 그로 인해 기회를 놓치는 것인지도 모를 일이다. 우리에게 공감이 필요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류인균 이화여대 약대 석좌교수 정신건강의학과 의사
#공감 능력#이해#거울 뉴런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