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의사들도 시간 필요” 野 “총선용 갈등 중재 기획”

  • 동아일보
  • 입력 2024년 3월 26일 03시 00분


코멘트

[의료공백 혼란]
의정 충돌 여론 방향 예의주시
韓 “행정처분 유연 대응, 새 출발점”
李 “정략적 차원 접근 말아야”

여야가 25일 전국 의대 교수진의 집단 사직서 제출이 시작되자 여론 향방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정부가 의사들과 대화하겠다면서도 ‘2000명 증원’은 협상 대상이 아니라는 입장이기 때문이다. 국민의힘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은 “첫술에 배부를 순 없다”며 “의사들에게도 시간이 필요한 면이 있다”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은 한 위원장이 의정 갈등 중재에 나선 것에 대해 “총선용 기획”이라고 날을 세웠다. 민주당은 ‘2000명 증원’과 관련해선 “현실적인 의대 정원 확대 방침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한 위원장은 이날 한양대에서 열린 현장 선대위 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의사들로부터) 행정처분을 유연하게 해야 한다는 간곡한 요청이 있었고 그 부분을 충분히 감안해야 한다는 의견을 정부에 전달했다”며 “정부에서 그걸 받아들였기 때문에 새로운 시작점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전날 한 위원장은 전국의대교수협의회(전의교협) 회장단과 50분간의 비공개 간담회를 가진 뒤 윤석열 대통령에게 현장 이탈 전공의들의 면허정지 처분을 유연하게 해달라고 요청했다.

다만 한 위원장은 의대 증원 규모 조정의 필요성을 묻는 질문엔 “제가 어떤 방향을 제시하는 건 혼란을 가져올 것”이라면서 “제가 이 문제에 있어 건설적 대화의 중재자로서, 조정할 수 있는 사람으로서 정치의 역할을 하겠다”며 답을 피했다.

민주당은 한 위원장의 중재 움직임을 두고 “예상됐던 시나리오”라며 목소리를 높였다. 민주당 홍익표 원내대표는 “국민들이 의료대란 때문에 불편함을 느끼기 시작하니 이쯤에서 한 번 접으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홍 원내대표는 “의대 정원 확대 방침에는 동의하지만 현실적으로 수용 가능하도록 400명씩 10년에 걸쳐 늘려야 한다”면서 “지방 대학 의대생이 아니라 지방에서 일하는 의사의 숫자를 늘려야 하는데 정책에 대한 진지한 고민이 없는 상황”이라고 비판했다.

이재명 대표도 이날 경남 창원시에서 기자들과 만나 “(국무)총리도 있고 보건복지부 장관도 있는데 갑자기 여당 대표가 ‘이 일을 부탁받았다’고 표현했다”며 “이건 정부의 일이지 당의 일은 아니다”라고 했다. 그러면서 “혹여 정략적 차원에서 이 문제에 접근하지 않길 바란다”고 했다.


신나리 기자 journari@donga.com
유채연 기자 ycy@donga.com
#의정 충돌#의료공백#여론 방향#집단 사직서 제출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