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묵화를 옛것으로 폄하 말라, 다양한 붓으로 그린 현대적 작품”

  • 동아일보
  • 입력 2024년 2월 5일 03시 00분


코멘트

한국화가 박대성 국내 전시회
2년간 美-獨-伊서 해외 전시회… 朴 “동양적 구성 벗어나려고 노력
해외선 수묵화 굉장히 놀라워해”
‘한국화 작가 미술사적으로 분석’… 美4개 대학서 평론집 도록 펴내

“어색하게 내 작품을 서구화하고 싶지 않았다. 붓을 다루는 건 자신 있었다. 한 작품에 다양한 기법을 쓰는 것, 그것이 내가 작품을 현대화하는 방법이다.”

동양의 전통적인 수묵 기법을 이어가고 있는 한국화가 소산 박대성(79·사진)이 해외 순회전을 마치고 한국에서 기념전시를 열고 있다. 서울 종로구 가나아트센터에서 개인전 ‘소산비경’이 개막한 2일 그는 “우리에겐 익숙한 수묵화를 해외에선 굉장히 놀라워한다는 인상을 받았다”며 “우리가 오히려 수묵을 고리타분한 옛것으로 폄하하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박대성은 2022년부터 지난해까지 해외기관 8곳에서 전시를 열었다. 독일, 카자흐스탄, 이탈리아의 한국문화원에서 열린 개인전을 시작으로 미국 로스앤젤레스카운티미술관(LACMA), 하버드대 한국학센터, 다트머스대 후드미술관, 스토니브룩 뉴욕주립대 찰스왕센터, 메리 워싱턴대 미술관으로 이어졌다.

LACMA에서 열린 ‘고결한 먹, 현대적 붓(Virtuous Ink and Contemporary Brush)’은 한국 작가 최초의 개인전으로 소품 2점, 대작 6점 등 총 8점의 작품을 선보였다. 박정연 가나아트 LA 대표는 “불국사 설경을 그린 대작과 아주 작은 소품을 함께 전시해 크기와 상관없이 느껴지는 필력을 보여주는 전시였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한국화의 명맥을 잇는 작가라는 점, 물질문명과 대비되는 정신성을 담고 있다는 점이 흥미롭게 비친 듯하다”고 덧붙였다.

미국 다트머스대 후드미술관과 스토니브룩 뉴욕주립대 찰스왕센터에서 전시했던 박대성의 작품 ‘삼릉비경’(2017년). 경북 경주시 삼릉의 소나무 숲을 그렸다. 종이에 먹, 446.7×792cm. 가나아트 제공
미국 다트머스대 후드미술관과 스토니브룩 뉴욕주립대 찰스왕센터에서 전시했던 박대성의 작품 ‘삼릉비경’(2017년). 경북 경주시 삼릉의 소나무 숲을 그렸다. 종이에 먹, 446.7×792cm. 가나아트 제공
박대성을 ‘1호 전속 작가’로 소개한 갤러리가 꼽은 이번 순회전의 가장 큰 수확은 미국의 4개 대학이 발간한 전시 도록이다. 가나아트 관계자는 “평론집 형식의 도록이자 한국화 작가를 미술사적으로 분석한 첫 영문 연구서로 한국화 연구에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도록에는 작가의 작품 도판과 김성림, 김지연, 이정실 등 연구자들의 원고가 수록돼 있다. 전시장에서 도록을 확인할 수 있다.

이번 전시에서는 다트머스대 후드미술관, 메리 워싱턴대 미술관, 찰스왕센터 등에서 선보였던 대작 ‘금강설경’(2019년), ‘삼릉비경’(2017년), ‘만월’(2022년), ‘인왕산’(2022년) 등 회화 작품 20여 점을 볼 수 있다. 전시장 입구에 걸린 ‘현율’(2024년)은 LACMA에 전시된 작품과 비슷하게 만든 신작으로, 멀리 있지만 웅장한 바위산을 넓게 펼치고 가까이 있는 풍경을 작게 표현하고 있다. 작가는 “동양의 전통적 구성을 벗어나고자 시도한 작품”이라고 설명했다.

박대성은 정규교육을 받지 않고 독학으로 산수화에 입문했다. 1969년부터 1978년까지 대한민국미술전람회에서 8차례 입선하고 1979년 제2회 중앙미술대전에서 대상을 받으며 활동 초기부터 두각을 드러냈다. 중국 베이징, 옌볜 등지로 화문(畵文) 기행을 떠났고(1988∼1989년), 실크로드를 1993년과 1995년 두 차례 찾아 스케치했다. 1994년 1년간 미국 뉴욕에 머물며 현대미술을 접할 때 수묵화를 해야겠다고 결심했다. 이후 1995년 귀국한 후 경북 경주시에 정착해 불국사 등 다양한 문화유산을 그리기 시작했다. 전시장에서 볼 수 있는 ‘신라몽유도’(2022년)에는 경주를 대표하는 유적들이 묘사돼 있다. 전시는 3월 24일까지. 3000원.



김민 기자 kimmin@donga.com
#한국화#박대성#전시회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