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사망률 2위 간암… “고위험군 매년 2가지 검사 2번씩”

  • 동아일보
  • 입력 2024년 2월 1일 03시 00분


코멘트

간암의 예방과 치료
증상 거의 없어 알아채기 어려워 초음파-혈액 검사 매년 받아야
40세 이상 간질환 환자 특히 주의
백신 등으로 B-C형 간염 예방… 건강식품 남용 땐 간 기능 저하

간암 고위험군 환자는 간초음파 검사와 혈청 알파태아단백(AFP) 검사를 연간 2회 받는 게 좋다. 중앙대 광명병원 제공
간암 고위험군 환자는 간초음파 검사와 혈청 알파태아단백(AFP) 검사를 연간 2회 받는 게 좋다. 중앙대 광명병원 제공
“간암 고위험군이라면 연 2회 두 가지 검사를 꼭 받으세요.”

2일은 간암의 날이다. 대한간암학회는 고위험군 환자들에게 간초음파 검사와 혈청 알파태아단백(AFP) 검사를 권장한다. 두 가지 검사를 쉽게 기억하라는 취지에서 간암의 날을 2월 2일로 정했다. 국가암정보센터 통계에 따르면 간암은 국내 암 발병률 순위 7번째지만 사망률은 폐암에 이어 2번째로 높다. 사망률이 높은 만큼 예방과 조기 발견이 중요하다. 장정인 중앙대 광명병원 소화기내과 교수와 임선영 고려대 안암병원 소화기내과 교수에게 ‘간암을 이기는 건강법’을 자세히 들어봤다.

● 만성 간질환 환자가 발생 위험 높아
자료: 대한간암학회
자료: 대한간암학회
간암 발생의 주원인은 만성 간질환이다. 만성 간질환에는 만성 B형 간염, 만성 C형 간염, 알코올 간질환, 비알코올 지방간질환 등이 있다. 간질환을 앓으면 간에 염증이 생기고 섬유성 변화가 일어난다. 이어 간이 딱딱하게 굳어지는 간경변증이 발생하며 간암 발생 위험을 높인다.

간암은 초기뿐만 아니라 상당히 경과가 진행된 경우에도 증상이 거의 없거나 미미하다. 피로감과 우상 복부 불쾌감, 울렁거림, 체중 감소, 식욕 부진 등을 느낄 수 있는데, 이런 증상은 간암에만 나타나는 게 아니기 때문에 바로 간암으로 의심하기 어렵다. 하지만 증세가 악화되면 황달이 나타날 수 있고 우측 갈비뼈 아래로 덩어리가 만져지거나 통증이 느껴지기도 한다.

장 교수는 “특히 40세 이상 만성 간질환 환자들은 정기 검사가 반드시 필요하다”며 “혈액검사와 영상검사를 병행하면 간암 조기 발견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고 했다. 간암은 혈액검사인 혈청 알파태아단백 검사와 영상검사인 간초음파 검사로 선별 검사를 한다. 이 검사로 간암이 의심되면 복부 컴퓨터단층촬영(CT) 검사와 자기공명영상(MRI) 촬영 검사를 통해 간암 여부를 진단하게 된다.

● 고주파 열치료 생존율 절제술만큼 높아
간암은 진행 정도와 간 기능 저하 여부에 따라 치료법이 다르다. 수술로는 간 절제술과 간 이식 등이 있다. 환자의 간 기능이 양호하고 조기 간암이라면 간 절제술을 고려할 수 있고, 간 기능이 저하됐지만 간암이 많이 진행되지 않았다면 이식을 받을 수 있다.

간 절제술은 암이 발생한 부위를 일부 떼어내는 수술이다. 간 기능이 나쁘지 않고 암의 크기가 작은 경우 절제술 이후 5년 생존율이 70%에 이른다. 그러나 간암 환자 대부분은 간경변증으로 간 기능이 저하된 사례가 많기 때문에 간 절제술을 받을 수 있는 환자는 10∼20%에 불과하다. 간 이식은 건강한 사람이나 뇌사자의 간을 환자에게 이식하는 방법으로 암 치료와 간 기능 정상화에 이상적인 치료 방법이다. 하지만 국내에는 뇌사 장기 공여자가 부족하기 때문에 응급 상황 등 이식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다면 별도 공여자가 필요하다.

간암은 진행 정도에 따라 다양한 비수술적 치료도 가능하다. 특히 고주파 열치료는 조기 간암일 경우 치료 후 생존율이 절제술만큼 높다. 경동맥 화학색전술은 간암에 혈액을 공급하는 간동맥을 막아 암을 치료하는 방법으로 절제 불가능한 간암에서 간 기능이 비교적 저하돼 있을 때 사용하는 방법이다. 어느 정도 진행된 간암에선 표적항암제, 면역항암제 등 항암 약물 치료를 받기도 한다.

● “검증 안 된 건강식품으로 간 기능 저하도”
간암을 예방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우선 B형 간염과 C형 간염에 걸리지 않는 것이다. 다만 B형 간염은 백신 접종으로 예방할 수 있지만 C형 간염은 백신이 없기 때문에 혈액이나 체액으로 전파되는 감염을 조심해야 한다. 환자의 혈액이 묻을 수 있는 면도기와 칫솔, 손톱깎이 등의 공동 사용을 피하고 비위생적인 문신, 피어싱 등의 시술도 주의해야 한다. 과도한 음주도 피하는 게 좋다. 음주는 지방간뿐만 아니라 알코올 간염을 유발하고 지속되면 간경변증으로 진행해 간암 발생 위험을 높인다. 또 비만과 당뇨병, 고지혈증 등 대사성 질환 환자들은 비알코올 지방간질환을 동반할 수 있으므로 규칙적인 운동과 식단 관리, 체중 감량이 필요하다.

장 교수는 “만성 간질환이나 간암 환자들이 검증되지 않은 건강식품이나 야생 버섯, 약초 등을 잘못 복용하면 간 기능이 오히려 저하될 수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임 교수는 “간 기능 개선제에 들어 있는 우르소데옥시콜산(UDCA)은 간에서 합성하는 담즙에 포함된 성분 중 하나로 간 기능 개선에 도움을 준다. 하지만 병원에서 처방하는 약과 비교하면 함유량이 매우 적다”며 “간 질환자나 자주 술을 마시는 이들에게 일부 권장될 수 있지만 간 질환이 없는 사람이 간 기능 개선제를 장기 복용하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이진한 의학전문기자·의사 likeday@donga.com
#간암#암 사망률 2위#예방과 치료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