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월 26일 제주에서 출발해 대구로 향하던 아시아나항공기에 탑승한 30대 남성 A씨가 대구공항 상공에서 비상문을 강제로 개방해 승객들을 공포에 떨게 한 가운데 승무원이 비상문을 온몸으로 막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한 시민은 “항공기 비상문이 열린 상황에서 여성 승무원이 두 팔을 벌려 입구를 몸으로 막고 있었다“고 전했다. (독자 제공) 2023.5.28. 뉴스1
정부는 최근 운항 중인 항공기 내부에서 비상문을 열거나 개방을 시도한 승객이 발생함에 따라 앞으로 항공기 이륙 전 ‘비상구 개방 금지’ 안내방송을 의무화한다.
28일 국토교통부는 “지난 5월 26일 여객기(아시아나) 착륙 과정에서 항공기 비상문이 불법 개방되어 여객 및 항공기 안전을 심각하게 위협하는 사고가 발생햇다”며 이에 “당정 협의를 거처 ‘항공기 비상문 안전 강화대책’을 마련키로 했다”고 밝혔다.
강화대책으로는 △객실승무원에게 항공기내 이상행동 승객감시 교육 신설 △기내 탈출구 조작행위 금지 안내 및 경고 스티커 부착 등이다.
현재 이륙전 의무방송으로 ‘기내 흡연과 전자기기 사용 금지’ ‘승무원 업무를 방해하면 처벌받는다’는 고지문이 나가고 있다.
여기에 더해 “승무원 이외의 사람이 비상문을 열면 안 된다”는 비상구 임의조작 경고방송을 추가키로 했다. 또 탈출구 등에 ‘임의조작 금지’를 알리는 스티커를 부착하기로 했다.
이러한 내용을 담은 ‘항공운송사업자의 항공기내 보안요원 등 운영지침 일부개정안’은 지난 24일부터 오는 12월 14일까지 행정예고 기간을 거친 뒤 실행에 옮겨진다.
(서울=뉴스1)
좋아요
0개
슬퍼요
0개
화나요
0개
댓글 2
추천 많은 댓글
2023-11-30 04:42:47
운항 중인 항공기 내부에서 비상문을 열려는 시대롤 한 승객이 있었습니다. 이에 재발 방지를 위해 국토교통부는 기내흡연 전자기기 사용 금지에 더해 비상문 임의 조작 금지까지 포함하여 안내 방송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 안내 방송을 통해 손님들도 비행기 운행 중 기내 안전에 대한 경각심을 느껴 사고율을 줄일 수 있을것으로 기대됩니다.
2023-11-28 21:08:05
항공기에서 비상문을 개방하는 사고가 발생한 데 대한 정부의 대응은 안전을 강화하는 긍정적인 조치로 보입니다. 이번 대책은 승무원의 감시 교육과 경고 스티커 부착 등을 통해 승객 및 항공기 안전을 강화하고, 비상구 임의조작 경고방송 및 스티커 부착으로 승객들에게 경각심을 심어주는 것이 좋은 방향입니다. 이를 통해 항공 안전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안정적인 비행 환경을 조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운항 중인 항공기 내부에서 비상문을 열려는 시대롤 한 승객이 있었습니다. 이에 재발 방지를 위해 국토교통부는 기내흡연 전자기기 사용 금지에 더해 비상문 임의 조작 금지까지 포함하여 안내 방송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 안내 방송을 통해 손님들도 비행기 운행 중 기내 안전에 대한 경각심을 느껴 사고율을 줄일 수 있을것으로 기대됩니다.
2023-11-28 21:08:05
항공기에서 비상문을 개방하는 사고가 발생한 데 대한 정부의 대응은 안전을 강화하는 긍정적인 조치로 보입니다. 이번 대책은 승무원의 감시 교육과 경고 스티커 부착 등을 통해 승객 및 항공기 안전을 강화하고, 비상구 임의조작 경고방송 및 스티커 부착으로 승객들에게 경각심을 심어주는 것이 좋은 방향입니다. 이를 통해 항공 안전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안정적인 비행 환경을 조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댓글 2
추천 많은 댓글
2023-11-30 04:42:47
운항 중인 항공기 내부에서 비상문을 열려는 시대롤 한 승객이 있었습니다. 이에 재발 방지를 위해 국토교통부는 기내흡연 전자기기 사용 금지에 더해 비상문 임의 조작 금지까지 포함하여 안내 방송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 안내 방송을 통해 손님들도 비행기 운행 중 기내 안전에 대한 경각심을 느껴 사고율을 줄일 수 있을것으로 기대됩니다.
2023-11-28 21:08:05
항공기에서 비상문을 개방하는 사고가 발생한 데 대한 정부의 대응은 안전을 강화하는 긍정적인 조치로 보입니다. 이번 대책은 승무원의 감시 교육과 경고 스티커 부착 등을 통해 승객 및 항공기 안전을 강화하고, 비상구 임의조작 경고방송 및 스티커 부착으로 승객들에게 경각심을 심어주는 것이 좋은 방향입니다. 이를 통해 항공 안전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안정적인 비행 환경을 조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