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개발 대신 순차개발로 현실성 높여” vs “직주-교통 등 접근성 대책 부족”

  • 동아일보
  • 입력 2022년 7월 27일 03시 00분


코멘트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 구상]
용산정비창 개발 실현 가능성은

26일 서울시가 용산 철도정비창에 대한 대규모 개발 계획을 밝히면서 실현 가능성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과거에도 여러 차례 개발이 추진됐지만 무산됐기 때문이다. 용산 철도정비창 부지 개발은 2007년 오세훈 서울시장이 ‘한강 르네상스 마스터플랜’의 하나로 추진하며 주목받기 시작했다. 당시에는 철도정비창 부지와 서부이촌동 일대 51만8692m²를 국제업무지구로 개발하는 계획이었다.

사업비 30조3000억 원으로 ‘단군 이래 최대 프로젝트’로 불렸지만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가 닥치며 위기를 맞았다. 2013년 시행사가 부도를 맞았고 박원순 시장이 취임하면서 사업이 전면 중단됐다. 이후 철도정비창 부지는 10년 가까이 방치됐다.

문재인 정부 시절인 2020년에는 1만 채 주택 공급 계획이 발표됐다. 하지만 지난해 4월 오 시장이 취임하면서 서울시와 정부 간 개발에 대한 견해차로 흐지부지됐다.

지지부진했던 개발은 정권 교체가 이뤄지면서 다시 속도를 냈다. 국토교통부도 대통령 업무보고를 통해 용산 일대를 글로벌 비즈니스 허브로 조성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일각에선 대통령 집무실이 용산으로 옮긴 마당에 고층 개발이 가능하겠느냐는 지적이 나왔지만 오 시장은 26일 개발 구상을 발표하면서 “여러 차례 (대통령실) 경호 파트와 논의해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확인받았다. 경호와 관련해 차질은 없다”고 단언했다.

전문가들은 이날 발표된 계획의 큰 방향은 잘 잡았다는 의견이 많았다. 다만 아직 구체적인 내용이 나오지 않아 성공 가능성을 평가하기에는 이르다는 반응이 대부분이었다.

김현수 단국대 도시계획부동산학부 교수는 “도시계획 규제를 최소화하는 등 큰 틀은 용산이라는 땅에 걸맞게 잘 짜인 것 같다”며 “국제업무지구라는 단어가 다소 모호한데 직장·주거·즐길거리를 어떻게 채울지 구체적인 방안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창무 한양대 도시공학과 교수는 “중심지가 되려면 접근성이 좋아야 하는데 교통 면에서 지상 연결성을 어떻게 보완할지가 다소 부족해 보인다”고 평가했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과거에는 인근 지역까지 한꺼번에 개발하려다 보니 민간 땅을 수용하는 과정에서 사업이 지연됐던 것”이라며 “단계별로 빨리 할 수 있는 곳은 빨리 하겠다는 계획이어서 현실성은 높은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일각에선 부동산 열기가 하강 추세여서 자금 조달 등이 제대로 될지 걱정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이에 대해 서울시 관계자는 “과거 사업 무산 원인 중 하나가 외부 환경 변화에 위험성이 높은 민간 프로젝트금융회사(PFV) 주도의 ‘통개발’이었다”며 “이런 이유 때문에 시는 이번에 공공과 민간의 순차적 개발을 택했다”고 설명했다.


강승현 기자 byhuman@donga.com
이새샘 기자 iamsam@donga.com
#용산정비창#개발 실현 가능성#용산국제업무지구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