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2015년 靑수석때 개입 정황”
金측 “상황 알아보라고 했을뿐”
金, 1996년 위장전입 시인 “송구”

더불어민주당 권인숙 의원은 9일 경찰청 인권침해 사건 진상조사위원회가 2018년 발표한 ‘백남기 사망 사건 진상조사 심사 결과’를 공개했다. 위원회에 따르면 당시 대통령고용복지수석비서관이었던 김 후보자는 백 씨가 물대포를 맞은 뒤 서울대병원으로 이송되자 청와대 선임행정관 A 씨에게 상황 파악을 지시했다. A 씨는 서울대병원장 비서실장에게 전화해 상황을 문의했다. 또 백 씨의 수술이 끝난 뒤에도 3, 4차례 전화로 백 씨 상태를 파악했다.
당시 위원회는 ‘청와대 전화’ 등을 토대로 “회생 가능성이 없어 수술할 의미가 없었던 백 씨가 갑자기 수술을 받은 데는 의료 동기 외에 경찰과 청와대의 개입이 있었던 것으로 인정된다”고 밝혔다. 또 “백 씨가 즉시 사망한다면 경찰과 정권 모두에 정치적으로 큰 부담이 되기 때문에 경찰과 청와대가 여러 경로로 서울대병원과 접촉한 것”이라고 판단했다. 이에 대해 김 후보자 측은 “당시에 ‘상황을 알아보라’고 했을 뿐 백 씨 수술에는 전혀 개입하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김소영 기자 ksy@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