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3차 대유행’ 위기 때 시민들 이동량 크게 줄었다

  • 뉴스1
  • 입력 2021년 2월 10일 07시 53분


코멘트
2021.2.4/뉴스1 © News1
2021.2.4/뉴스1 © News1
서울 시민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세마다 자발적으로 사회적 거리두기에 적극 동참해 이동량을 크게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지난 1년 간 코로나19가 서울을 어떻게 바꿔 놓았는지 빅데이터를 통해 조사한 결과를 10일 밝혔다.

이번 조사에는 서울시를 비롯해 신한카드, KCB, 서울연구원 등 총 8개 기관이 참여해 인구 경제 모빌리티 환경 민원 등 서울시민의 삶을 반영할 수 있는 다양한 빅데이터를 분석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3차 대유행’으로 정부가 방역단계를 ‘2.5단계’(12월8일)로 격상한 이후 12월 넷째(12월21~27일) 주말의 경우 생활인구가 7.4% 감소해 연간 최대 감소치를 보였다. 이는 시민들의 적극적인 사회적 거리두기 참여가 있었기에 가능했다.

또 외국인 관광객 감소, 재택근무 증가 등 사회적 거리두기의 일상화로 도심지 생활인구는 감소했으나 시 외곽지역은 상대적으로 인구가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실제로 자치구별 생활인구 증감률을 보면 대표적인 업무·상업지역인 중구의 경우 평일은 30%, 주말은 39% 감소했다. 반면 강동구(주중 1.9%, 주말 1.2%) 등 주거지가 밀집한 자치구의 생활인구는 소폭 증가했다.

대중교통 이용자 역시 크게 줄었다.

지난해 지하철 이용인구는 19억7912만5000명으로 전년보다 27.4%(7억4712만4000명) 감소했다. ‘3차 대유행’이 정점을 찍은 지난해 12월 지하철 이용인구는 전년 동기 대비 40.7%(9642만8000명)이 줄어든 1억4063만명을 기록했다.

다만 거리두기가 강화되면서 지역경제는 크게 위축됐다.

지난해 상점매출은 전년 대비 9%(약 9조원) 하락했다. 서울시 연간 상점매출은 설 연휴와 신학기가 시작하는 2~3월, 여름휴가와 추석이 겹치는 8~9월, 연말 등이 대목인데 지난해의 경우 코로나 탓에 매출액 감소폭이 더 컸다.

서울시 발달상권 32개소의 경우 상권별 경제충격의 정도가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매출 감소율 기준 가장 큰 충격을 받은 자치구는 주요 공기관 및 본사가 집중된 중구(19%), 종로구(14%), 대학가 상권이 집중된 서대문구(18%), 이태원이 포함된 용산구(15%) 등의 순이었다.

주거지역이 밀집된 중랑구(3%), 양천구(4%), 강동구·은평구(Δ5%) 등은 상대적으로 매출 하락폭이 낮았다.

매출액이 하락한 상점·상권매출과는 달리 온라인 소비액은 전년대비 4조원 이상 증가하며 코로나19로 인한 언택트 트렌드 확산이 재확인됐다.

이원목 서울시 스마트도시정책관은 “시민들의 사회적 거리두기 참여 덕분에 더 크게 번질 수 있었던 위기를 비교적 빠르게 수습할 수 있었다”며 “데이터에 근거한 포스트 코로나 정책을 수립하는 등 과학행정을 통해 민생안정을 최우선 하겠다”고 말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