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소득 논의 전 고려할 것들[내 생각은/박상근]

  • 동아일보
  • 입력 2020년 7월 3일 03시 00분


코멘트
기본소득 논쟁이 뜨겁다. 표를 의식한 정치권이 기본소득 도입에 개입하면 나라 살림에 대한 전반적인 고려 없이 졸속으로 흐를 가능성이 높다. 기본소득이 포퓰리즘으로 흐를 가능성을 경계하고 준비하고 고려해야 할 점이 많다. 먼저 재원 확보다. 기본소득은 국가가 모든 국민에게 일정 소득을 보장하기 위해 개별적으로 매월 일정액을 지급하는 ‘현금’이다. 올 들어 코로나19 대비 추경 재원을 대부분 적자 국채를 발행해 마련했다. 재원 마련 대책 없이 기본소득을 도입한다면 그 재원도 빚을 내 충당할 수밖에 없다. 이 경우 국가채무가 급증하면서 재정 파탄에 직면할 수 있다. 다음은 기존 복지의 정비다. 경제적 약자에게 지급되는 기존 복지제도를 정비하지 않으면 국가 재정이 기본소득과 기존 복지에 들어가는 재원을 감당하기란 불가능하다. 불평등과 재원 낭비 등 온갖 비효율이 발생한다. 정부가 기존 복지제도를 효율적이고 공평하게 정비할 수 있는지에 기본소득 도입 여부가 달렸다.

박상근 세무회계연구소 대표

※동아일보는 독자 투고를 받고 있습니다. 사회 각 분야와 관련한 여러분의 의견을 이름, 소속, 주소, 연락처와 함께 e메일(opinion@donga.com)이나 팩스(02-2020-1299)로 보내주십시오. 원고가 채택되신 분께는 소정의 원고료를 지급합니다.
#기본소득#논쟁#나라 살림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