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7년 민주화에도 불구하고 지역주의에 기반한 거대 양당이 적대적으로 공존하며 국회 권력을 주고받는 승자 독식(獨食)이 정치 발전을 가로막고 있다는 비판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특정 지역을 특정 정당이 독식하는 지역주의가 강고한 나라에서 소선거구제를 통해 지역 의석을 싹쓸이하는 거대 양당이 다시 지역주의를 강화하며 극한 대결을 벌이는 악순환의 연속이었다.
연동형 비례대표제는 전국 혹은 권역단위의 비례대표 후보 명부를 작성해 정당 득표율과 연동시켜 국회 의석을 배분하는 제도다. 평균 절반 가까운 사표(死票)가 발생할 수밖에 없는 소선거구제에 비해 유권자의 뜻을 보다 정확히 국회 의석에 반영할 수 있다. 상대적으로 소수당의 국회 진출에 유리해 정치 담론을 다양화하는 한편 거대 양당의 극한 대립과 지역주의 완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
여야 5당은 이번에 “선거제 개혁 관련 법안 개정과 동시에 권력 구조를 개편하기 위한 원포인트 개헌 논의를 시작한다”는 데도 합의했다. 선거제 개혁은 그것만 따로 해서는 성공적인 정치 개혁이 되기 어렵다. 사그라든 개헌 논의를 되살려 제왕적 대통령제를 바꾸는 더 큰 정치적 청사진을 갖고 선거제 개혁 문제에 접근해야 한다. 문재인 대통령은 연동형 비례대표제 개혁에 힘을 실어줬듯이 권력 구조를 개편하기 위한 원포인트 개헌에도 힘을 실어주는 게 마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