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한 부부가 평생 낳을 것으로 기대되는 자녀의 수가 2명에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젊은 부부들을 중심으로 자녀를 아예 낳지 않겠다고 생각하는 비율도 큰 폭으로 상승해 저출산 극복이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20일 통계청과 통계개발원은 부부의 혼인 시점별 자녀 계획과 첫 자녀 출산 시점 등을 분석한 ‘생애주기별 주요 특성분석’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05∼2009년 기대 자녀 수는 1.91명으로 나타났다. 기대 자녀 수란 결혼한 부부가 이미 낳은 자녀와 향후 추가로 낳을 것을 계획하고 있는 자녀의 합을 가리킨다. 1950∼1954년 결혼한 부부의 기대 자녀 수 4.49명의 절반에도 못 미치고, 인구가 현 수준을 유지하기 위한 최소 출산율 2.1명보다도 낮다.
다만 2010∼2015년 혼인 부부의 기대 자녀 수는 2.07명으로 집계돼 다소 상승했다. 이에 대해 통계청은 “혼인한 지 얼마 되지 않은 부부들은 자녀 계획을 과다하게 잡는 경향이 있어 향후 조사에서는 기대 자녀 수가 더 감소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혼인을 하고도 자녀 계획을 세우지 않는 부부도 늘고 있다. 2000∼2004년 결혼한 부부 중 기대 자녀가 0명이라는 비중은 5%로 나타났다. 그 이전에 결혼한 부부 중 기대 자녀가 한 명도 없다고 밝힌 비율은 4%를 넘지 않았다. 이 비율은 2005∼2009년 결혼한 부부의 경우 5.8%로 올랐고 가장 최근인 2010∼2015년 결혼 부부는 역대 최고인 8.2%까지 상승했다.
첫 자녀부터 마지막 자녀 출산 시기까지의 기간을 의미하는 출산 기간 역시 크게 단축됐다. 1950∼1954년 결혼한 부부는 11.4년 동안 자녀를 낳았지만 2005∼2009년 결혼한 부부는 3.2년에 그쳤다. 자녀를 여럿 낳았던 과거 부부들과 달리 최근에는 한 명만 낳거나 아예 낳지 않는 쪽으로 경향이 바뀌었기 때문이다. 초혼 연령이 2010∼2015년 29.4세로 과거에 비해 높아지면서 출산에 부담을 느끼는 부부가 늘어난 것도 영향을 미쳤다.
통계청은 “기대 자녀 수가 줄어드는 등 한국 사회의 저출산이 고착화된 모습”이라고 평가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