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해킹프로그램 구입… 사찰 활용은 안해”

  • 동아일보
  • 입력 2015년 7월 15일 03시 00분


코멘트

정보위 “스마트폰 도청 의혹… 국정원 방문조사”
국정원 ‘통화만으로 폰 해킹’ 문의도

국회 정보위원회 소속 여야 의원은 국가정보원의 해킹 프로그램 구입 관련 의혹을 규명하기 위해 이번 주 국정원을 현장 방문하기로 했다. 최근 이탈리아 보안업체 ‘해킹팀’의 유출자료에서 국정원이 2012년 ‘5163부대’라는 위장 명칭으로 해킹 프로그램 ‘RCS(Remote Control System)’를 구입해 일반인의 스마트폰 등을 도·감청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불거졌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병호 국정원장은 14일 국회 정보위원회에 출석해 “2012년 1월과 7월 ‘해킹팀’으로부터 각각 10인용씩 총 20인용의 ‘RCS’를 구입했다”고 시인하면서도 “그 목적은 대북 해외 정보전을 위한 연구개발용일 뿐이며 법을 철저히 준수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2012년 총선과 대선 활용이나 민간인 사찰 의혹과 관련해 “이런 활동은 있을 수 없다”며 “(만약 사실이라면) 어떤 처벌도 받겠다”고 야당의 의혹 제기를 일축했다.

정보위 위원들은 논란이 제기된 만큼 스마트폰과 메신저 서비스인 카카오톡 등의 도·감청 의혹을 철저히 검증하기로 했다. 새정치민주연합 간사인 신경민 의원은 “여야 합의로 이번 주 국정원 사무실을 직접 방문해 (로그인 기록 등) 자료를 살펴볼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국정원이 통화만으로 스마트폰을 해킹하는 방법까지 ‘해킹팀’에 문의했던 정황이 밝혀졌다. ‘해킹팀’은 2011년 7월 18일 해킹 프로그램 구입을 중개한 ‘나나테크’ 측에 보낸 e메일에서 “의뢰인이 제안한 전화 통화만으로 휴대전화에 ‘백도어’(사용자 몰래 정보 데이터를 빼낼 수 있는 통로)를 심는 건 불가능하다”고 답했다. 국정원이 최첨단 감청 기술을 원했던 것으로 해석된다.

고성호 sungho@donga.com·조건희 기자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