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문제 해결 美 국토안보부도 나선다

  • 동아일보
  • 입력 2014년 8월 8일 03시 00분


코멘트

[美, 위안부 日압박]
9월 2차면담때 추가 참여 검토… 정보-수사 담당 부처, 對日압박 강화
日 일부 누리꾼 “위안부 거짓말”… 백악관 국장 트위터에 댓글 공세

위안부 피해 할머니 안아준 일본계 美 의원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인 이옥선(왼쪽) 강일출 할머니가 지난달 미국 백악관과 국무부 관계자 면담을 마친 뒤 만남을 주선한 일본계 마이크 혼다 미 연방 하원의원과 웃으며 사진을 찍었다. 나눔의집 제공
위안부 피해 할머니 안아준 일본계 美 의원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인 이옥선(왼쪽) 강일출 할머니가 지난달 미국 백악관과 국무부 관계자 면담을 마친 뒤 만남을 주선한 일본계 마이크 혼다 미 연방 하원의원과 웃으며 사진을 찍었다. 나눔의집 제공
미국 백악관이 지난달에 이어 다음 달에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인 이옥선, 강일출 할머니와의 면담을 추진 중인 가운데 2차 면담에는 국가안보회의(NSC)와 함께 국토안보부(DHS) 관계자도 참석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 정부 내 단일 부처로는 가장 큰 조직 중 하나인 DHS는 테러 방지 외에 정보 분석 및 범죄 수사 기능을 갖고 있어 미 정부가 위안부 문제의 실질적 해결을 위해 일본 정부에 대한 압박을 본격화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폴렛 애니스코프 백악관 공공업무 국장은 지난달 30일 할머니들과의 면담에서 “할머니들의 이야기를 다른 이들과 공유하겠다”며 “반드시 국토안보부와 국제관계 직원들과 상의해서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다”고 말한 것으로 6일(현지 시간) 확인됐다. 애니스코프 국장은 “여러분들이 지금은 힘이 없다고 생각하겠지만 같은 생각을 하는 사람들이 함께 모여 연대했을 때 큰 힘이 생긴다는 것을 아시기 바란다”고 덧붙였다.

백악관이 어느 때보다 강도 높게 위안부 문제에 대해 일본 정부를 압박하고 나선 것은 더 늦기 전에 이 문제를 빨리 매듭지어야 한다고 판단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여기에는 인권 문제라는 명분과 동북아 지역에서의 중국 견제라는 실리적 포석이 동시에 깔려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한일 갈등의 주요 뇌관인 위안부 문제를 해결해야 한미일 공조를 바탕으로 동북아 지역에서 중국의 팽창을 견제할 수 있는 만큼 일본 정부가 지금이라도 구체적인 성의 표시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국무부 측이 지난달 31일 할머니들과의 면담에서 “과거를 해결할 수 있는 당사자는 바로 일본뿐”이라고 못 박은 것도 이런 맥락이다.

워싱턴 정가에서는 할머니들과의 면담을 통해 위안부 문제를 공론화하고 있는 애니스코프 국장의 정치적 위상도 주목하고 있다. 대통령 부보좌관을 겸하는 그는 2008년 대선 때 아이오와 코커스(당원대회) 등 주요 격전지에서 버락 오바마 진영의 선거 전략을 실무 지휘한 최측근 중 한 명으로 꼽힌다. 백악관 내 요직인 인사담당 수석보좌관실에서도 일했다. 위안부 할머니 면담을 통한 일본 압박 움직임이 일회성에 그치지 않고 오바마 대통령의 의중이 실려 있다는 분석이 나오는 배경이다.

한편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백악관의 움직임이 이전과 다르게 심상치 않자 우익 성향의 일본인으로 보이는 누리꾼들은 벌써부터 사이버 공간에서 흑색선전을 벌이며 맞불을 놓고 있다.

자신을 ‘테드 요코하마’라고 밝힌 한 누리꾼은 할머니들과의 면담 사진을 올린 애니스코프 국장의 트위터 계정에 “누가 거짓 이야기에 미안해하겠느냐”고 댓글을 달았다. 또 다른 일본 누리꾼은 “할머니들이 거짓말을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한국인을 포함한 다른 누리꾼들은 강하게 반박하고 있다. ‘조애나 왕’이라는 누리꾼은 “위안부 할머니들은 (일본군에) 납치돼 수용됐고 강간과 고문을 당했다”고 일본 정부를 비난했다.

워싱턴=이승헌 특파원 ddr@donga.com


#위안부#미국 백악관#일본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