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른들은 몰라요, 우리가 왜 스마트폰만 들여다보는지”

  • 동아일보
  • 입력 2014년 4월 10일 03시 00분


코멘트

[행복 충전 코리아]<1부>아이와 젊은이가 행복한 나라
SNS에 웃고 우는 청소년들

가족이나 친구에게 받은 상처와 스트레스를 스마트폰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위로받으려는 청소년들이 스마트폰 중독에 빠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스마트폰 중독은 사람 사이의 대화를 단절시키고 결국 불행의 늪에 이르게 된다”고 경고했다. 원대연 기자 yeon72@donga.com
#1. ‘가상 도피처’

지난해 10월 아버지는 어머니와 이혼한 뒤 생활비마저 주지 않았다. 어머니는 고깃집에서 설거지 일을 하느라 매일 밤 12시가 넘어서야 돌아왔다. 그때부터 중학교 1학년 A 군(14)은 늘 혼자였다. 그는 외로움을 스마트폰 게임으로 달래기 시작했다. 주로 총으로 사람을 쏴 죽이는 게임이었다. 유일한 대화상대는 게임상의 다른 사용자였다. 얼굴도 목소리도 모르는 상대방과 나누는 “쏴” “앞으로” “죽었다” 등 짧은 채팅 대화가 전부였다. 게임에 빠져들면서 학교 친구들과는 멀어졌다. 반에서 중간이던 성적 역시 최하위권으로 떨어졌다.

#2. ‘사이버 지옥’

오전 3시 중학교 2학년 B 양(15)은 잠을 이루지 못했다. 카카오톡 메신저 알림음이 ‘카톡, 카톡’ 하며 수시로 울려댔다. 하지만 열어보지 않았다. 잠시 졸음에 빠져든 순간 다시 카톡 알림음이 시끄럽게 울렸다. 카톡에는 “자냐?” “미친 ×” “너 오늘 학교에서 보자?”는 글들이 올라와 있었다. B 양은 재빨리 메시지를 입력했다. “아니야, 읽고 있었어…. 미안해.” 매일 늦은 밤 카톡은 B 양에게 악몽이다. 그는 학교에서 왕따였다. 그의 부모는 이 사실을 모른다. 》  

○ ‘불행의 도피처’가 ‘불행의 늪’으로

동아일보 취재팀은 최근 2주간 서울지역의 중학생과 고교생들을 만나 행복과 불행에 관한 이야기를 들었다. 학생 상당수가 스마트폰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가 “불행을 잊는 창구이자 불행의 원인”이라고 말했다.

미래창조과학부 등 7개 정부부처가 지난달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11년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청소년의 11.4%가 중독위험군에 속했지만 지난해 25.5%로 늘었다. 학생들은 “어른들은 우리가 스마트폰만 보고 있다고 지적하면서도 정작 왜 그러는지는 묻지 않는다”고 털어놓았다.

중학교 1학년 연모 양(13)의 SNS 카카오스토리(일명 ‘카스’)에는 ‘아 짜증난다, 싫다, 힘들다’는 글이 적혀 있다. 연 양은 “로스쿨에 가서 검사가 되고 싶은데 성적은 그에 못 미친다. 부모님이 자꾸 공부 못한다고 혼내서 속상하다”는 내용의 고민을 카스에 올리면 친구들로부터 위로를 받는다고 했다.

반대로 스마트폰 SNS나 게임 때문에 불행에 빠지는 경우도 있다. 중학교 2학년인 여학생 A 양은 “요즘 내 카스에 자꾸 저격(비난) 글이 올라온다”며 괴로워했다. 그의 카스는 ‘그렇게 살지 마라’ ‘안 찔리냐’ ‘거울 보지 마. 깨진다’는 등 욕설과 비난 글로 가득했다. 그는 카스를 탈퇴했다가 더 큰 상처를 입기도 했다. 온라인으로 쏟아지던 공격이 오프라인으로 옮겨온 것. 교실, 복도에서 마주친 아이들이 “××년, 다시 카스 가입해라”며 폭행을 하기 시작했다. 그는 울며 겨자 먹기로 카스에 다시 가입해야만 했다.

○ 해결책은 결국 ‘사람’

학교폭력이나 청소년 자살 문제가 터질 때마다 스마트폰과 SNS를 규제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그러나 이는 잘못된 접근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견해다. 스마트폰과 SNS는 문제를 비추는 ‘거울’일 뿐 근본적인 문제는 사람에게 있다는 얘기다.

고교 3학년 김모 양(18)은 올해 1월 가출한 뒤 경기 포천의 한 성매매업소에서 발견됐다. 경찰 조사결과 김 양이 스마트폰 채팅을 통해 만난 남자가 성매매업소 포주였다. “쉽게 돈을 벌 수 있다”는 말에 속아 성매매까지 하게 됐다.

청소년상담사가 김 양을 만나 이야기를 나눠본 결과 뜻밖의 사실이 드러났다. 김 양은 중학생 때부터 친구들과 놀기를 좋아했다. 그러나 김 양의 어머니는 김 양에게 지나치게 엄격했다. 통금시간을 정해 1분이라도 늦으면 어머니는 김 양을 질책했다. 김 양은 반항심에 중학생 때부터 남자를 만나 성관계를 가졌다. 어머니와의 갈등이 성매매까지 이어진 거였다.

중학교 3학년 이모 양(16)은 스마트폰 음란물에 중독된 사례였다. 처음에는 야한 동영상을 내려받아 보다가 동성애자 카페에까지 가입했다. 수위가 점점 높아지자 어머니가 이 양을 데리고 청소년상담센터를 방문했다. 상담 결과 이 양의 외할머니는 젊었을 때 남자관계가 복잡했고 이 양의 어머니는 어렸을 때 이 장면을 고스란히 목격했다. 부모의 문란한 사생활이 상처로 남았던 이 양의 어머니는 무의식적으로 딸에게 어릴 때부터 치마를 입지 못하게 하는 등 성적(性的)으로 이 양을 억압했다. 그 부작용으로 이 양이 도리어 음란물에 중독된 거였다.

조이심리상담센터 한수원 센터장은 “결국 모든 문제의 근원은 가족관계, 친구관계 등 사람에게 있다. 스마트폰을 빼앗는 등 인위적인 제한을 하는 건 임시방편일 뿐”이라며 소통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은택 nabi@donga.com·여인선 기자
#스마트폰#SNS#청소년#대화단절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