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진보, 종북-폭력의 그림자]민노총 ‘조건부 지지철회’ 후유증… 강온파 내분

  • 동아일보
  • 입력 2012년 5월 19일 03시 00분


코멘트

산별노조 “실질적 결별 선언”… 중앙 임원 “비대위에 힘 싣기”
같은 발표문 놓고 상반된 해석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노총)이 통합진보당에 대한 ‘조건부’ 지지 철회를 선언했지만 민노총 내부의 논란은 가라앉지 않고 있다.

지지 철회를 강력히 요구해온 산별노조는 “이제 통진당과의 관계는 끝났다”고 해석하고 있지만 정치적 입지에 치중하는 중앙 임원들은 “통진당 혁신비대위에 힘을 실어주는 제스처였다”는 상반된 태도를 보이고 있다.

18일 민노총의 한 관계자는 “조건부 지지 철회라는 단서가 붙긴 했지만 통진당이 비례대표 사퇴라는 민노총의 요구를 받아들일 가능성은 크지 않아 보인다”며 “집단 탈당만 안 했지 중앙집행위원 70% 이상이 결별을 선택해 통진당과의 관계는 사실상 단절됐다”고 말했다. 민노총이 이날 통진당 혁신비대위 참여를 거부하고 독자적인 정치 세력화를 위해 별도의 추진기구를 만들겠다고 밝힌 것도 이런 흐름과 맥이 닿아 있다.

민노총이 통진당을 다시 지지하기 위한 요구 조건도 충족되기 어려울 것이라는 분석이 우세하다. 이석기 김재연 당선자 등 종북세력인 통진당 당권파는 소송까지 제기하며 ‘버티기’에 들어갔다. 강기갑 비대위원장의 출당 압박에도 꿈쩍하지 않고 있다.

이런 현장 흐름에도 불구하고 중앙 임원들은 ‘통진당에 대한 지지’가 머지않아 회복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민노총의 한 관계자는 “지지 철회를 선언하면서 비례대표 사퇴라는 조건을 내건 것은 결국 강기갑 비대위원장에게 힘을 실어줘 당권파를 몰아내겠다는 계산이 깔린 것”이라고 설명했다. 결국 통진당 혁신비대위가 강 위원장과 힘을 합쳐 당권파를 몰아낸 뒤 당을 장악하겠다는 구상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민노총이 별도의 정치세력화를 추진한다고는 했지만 대선을 6개월여 남겨둔 시점에서 상황이 여의치 않다고 보고 현 정당을 활용해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해야 한다는 현실론에 바탕을 둔 전략인 셈이다.

박재명 기자 jmpark@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