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디서 왔어요? 조선족이야?”

  • Array
  • 입력 2009년 10월 27일 03시 00분


탈북자 3명중 1명 편견에 눈물
남한용어 못알아들어 곤혹
법-돈 개념없어 손해 일쑤

“아주머니는 어디서 왔어요? 조선족이야?” 감자탕 집에서 일했던 김정순(이하 가명·45·여) 씨는 하루에도 몇 번씩 손님들로부터 똑같은 질문을 받았다. 무시하는 듯한 손님들의 태도는 늘 그를 움츠러들게 만들었다.

탈북자 허복자 씨(20·여)의 학창시절 별명은 ‘웃음공주’였다. 2004년 남한에 와 중학교에 입학한 뒤 친구들이 말을 걸면 항상 배시시 웃기만 해서 붙은 별명이다. 허 씨는 “무슨 말인지 몰랐지만 다른 친구들이 다 아는 말을 혼자 물어볼 수는 없었다”고 말했다. 허 씨는 중학교 졸업 후 진학하지 않고 검정고시를 준비 중이다.

탈북자들은 한국사회 적응을 막는 가장 큰 장애물로 ‘언어’와 ‘편견’을 꼽았다. 특히 한국에 올 때 언어가 문제가 될 것이라고는 생각지도 못했던 탈북자들은 “의사 소통이 안 될 때 가장 곤혹스러웠다”고 밝혔다. 탈북자 200명 중 33명(16.5%)이 언어 소통의 어려움, 59명(29.5%)은 ‘탈북자에 대한 편견’ 때문에 힘들다고 답했다. 말투 등 언어문제로 신분이 노출되는 순간 남한사회의 편견과 차별을 겪었다고 털어놨다.

외래어는 탈북자들에게는 외국어나 마찬가지다. 북한에서는 한 번도 들어보지 못한 말이다. 남한에 와서 예술대에 진학해 독립영화를 만들 정도로 정착에 성공한 전성광 씨(24)는 “홈쇼핑, 헤어컷, 마트 등 일상에서 흔히 쓰이는 단어도 못 알아듣다 보면 자격지심이 생긴다”고 말했다. 은행, 이자, 수수료 등 북한에서는 쓰지 않던 용어들도 알아듣기 어려웠다는 탈북자가 많았다.

남한사회의 법질서나 자본주의에 대한 이해 부족도 장애물로 꼽혔다. 권명철 씨(42)는 정착 초기 술을 마신 후에도 운전대를 잡았다. 권 씨는 음주운전 금지라는 기본적인 법조차 모르고 운전을 하다 경찰에 적발됐다. 이미경 씨(62·여)는 남들보다 뭐든 비싸게 산다. 이 씨는 “돈에 대한 관념이 부족하다 보니 1만 원이면 살 것을 3만 원에 사는 등 바가지를 자주 썼다”며 “탈북자들은 경제 개념이 부족해 다단계 등 금융사기에 빠지기도 쉽다”고 말했다.

일부는 남북한 사람들의 문화 차이나 체력 차이를 남한 정착의 걸림돌이라고 꼽기도 했다. 전영숙 씨(30·여)는 “남한 사람들은 상사가 ‘담배를 여기에서 피우지 마’라고 하면 뒤돌아서 욕을 할지언정 앞에서는 상사의 말을 듣는데 북한 사람들은 싫으면 면전에서 바로 따지고 들어 싸움이 나기도 한다”고 말했다. 이수정 북한대학원대 교수는 “탈북자들은 남한사회에서 적응할 수 있는 언어능력, 기술이 없고 사회적 규칙에 낯설어 적응이 어려울 수밖에 없다”며 “탈북자들이 사회 속에서 살아갈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갖춰야 하고 탈북자에 대한 편견을 없애는 캠페인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특별취재팀>
팀장=황진영 기자 buddy@donga.com
유덕영 기자 firedy@donga.com
김윤종 기자 zozo@donga.com
우정열 기자 passion@donga.com
황형준 기자 constant@donga.com
장윤정 기자 yunjung@donga.com
조종엽 기자 jjj@donga.com
신민기 기자 minki@donga.com
이미지 기자 image@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