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광고주 협박꾼들과 한겨레·경향신문의 관계

  • 입력 2009년 6월 13일 02시 59분


메이저신문 광고주 협박에 나선 이른바 ‘언론소비자주권 국민캠페인(언소주)’이라는 공갈집단이 그제 삼성그룹 5개 계열사를 두 번째 공격 목표로 삼았다. 협박꾼들이 ‘정론(正論)매체’라고 치켜세우는 한겨레(신문)와 경향신문에 2007년 말부터 광고 게재를 중단한 삼성에 대한 보복 성격이 짙다. 삼성 측은 “일방적으로 삼성을 매도하는 기사 일색인 신문에 삼성 광고를 실어 무슨 효과가 있겠느냐”고 반문한다.

10일자 한겨레와 경향신문에는 언소주의 협박을 받은 광동제약의 광고가 실렸다. 이 회사가 갑자기 두 신문에 광고를 낸 것은 광고 효과 때문이 아니라 협박 때문이었다고 봐야 한다. 두 신문도 ‘공갈범’이 끌어온 광고를 덥석 게재하는 것을 언론의 정도(正道)라고 보지는 않을 것이며 속으로는 부끄러울 것이다. 이것이 이른바 ‘진보언론’의 실체라면 ‘정론’이란 말을 입에 올릴 수나 있겠는가.

한겨레와 경향신문은 좌파정권 10년 동안 당시 정권으로부터 시장(市場)원리를 무시한 각종 특혜를 받았다. 판매부수가 주요 신문의 몇분의 1도 안 되는 군소 신문이 정부 및 공기업의 공공 광고 배정에서는 메이저 신문보다 우대를 받았다. 지난해 광우병 시위 때는 좌파 세력이 두 신문 구독운동을 벌였다. 이처럼 도움을 받아왔음에도 여전히 좌파 군소신문의 위치를 벗어나지 못했다. 국민이 ‘정론지’를 몰라봐서 그럴까. 국민을 우습게 여기면 안 된다. 국민의 선택에는 다 이유가 있는 것이다.

기업들이 한겨레와 경향신문에 광고 내기를 꺼리는 것은 독자가 적고 시장 영향력도 낮아 광고 효과가 미미하다고 보기 때문이다. 기업과 시장에 적대적이고 불법과 폭력을 옹호하는 기사가 많은 것도 기피 사유에 포함될 것이다. 한국광고주협회는 어제 논평에서 광고주 협박사태를 ‘광고의 자유 및 매체선택권을 침해하고 민주주의의 근간을 흔드는 불법행위’라고 규정했다. 두 신문이 광고주 협박을 하는 언소주의 불법행위를 ‘소비자 주권운동’으로 치켜세우며 불법행위를 편들수록 기업들은 더욱더 외면할 것이다.

한겨레와 경향신문은 광고주 협박을 정당화하는 근거로 메이저신문 보도가 국민의 신뢰를 잃었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두 신문이야말로 철저하게 정파적 편향성으로 김대업 병풍(兵風) 사기극, BBK 의혹, 광우병 선동 등을 부풀리고 왜곡보도를 일삼았다. 그런 의혹이 사법부 판결을 통해 모두 거짓으로 밝혀진 뒤에도 반성하는 기색이 없다.

기업들이 당장 불편하다고 협박꾼들의 공갈에 굴복하면 자유시장 질서와 법치, 기업하기 좋은 나라는 요원해진다. 경제계 전체가 위축되지 말고 공동으로 맞서야 한다. 국민도 협박에 굴하지 않고 원칙을 지키는 기업의 제품을 적극 구매하는 등으로 응원할 필요가 있다. 검찰과 법원은 엄정한 수사와 재판을 통해 조폭이나 공갈범 수준의 협박이 통하지 않음을 분명하게 보여줘야 한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