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프랑스의 신문독자 확대정책 우리도 필요하다

  • 입력 2009년 1월 28일 02시 59분


프랑스의 니콜라 사르코지 대통령이 신년 기자회견에서 신문을 중심으로 한 활자매체 지원정책을 발표했다. 프랑스를 대표하는 신문인 르몽드 르피가로 리베라시옹이 연속 적자를 기록하고 있는 가운데 세계적인 금융위기까지 덮치자 신문산업의 붕괴를 우려해 내놓은 대책이다. 사르코지 대통령은 정부의 신문광고를 2배로 늘리고 만 18세가 되면 1년간 무료 신문구독권을 주는 대대적인 지원책을 펴겠다고 밝혔다.

신문의 위기는 프랑스만의 상황이 아니다. 세계적 권위를 자랑하는 미국 뉴욕타임스도 수익성이 악화되자 1면에 광고를 싣지 않는 전통을 깨고 5일부터 1면 하단에 광고를 게재하기 시작했다. 일본은 성인인구 1000명당 신문 발행부수가 세계 2위인 500부 수준인데도 활자문화의 위기에 적극 대처하고 있다. 미국은 신문독자의 이탈 같은 ‘읽기 문화’의 쇠퇴를 막기 위해 1998년 읽기진흥법을 제정했고 일본은 2006년 문자활자문화진흥법을 만들어 책과 신문 읽기를 국가 차원에서 장려하고 있다. ‘문화국가’임을 자부하는 프랑스도 이 대열에 가세한 것이다.

한국은 1996년 69%에 달했던 가구당 신문구독률이 지난해 30%대로 하락했다. 상대적으로 영상매체와 인터넷 이용자가 크게 늘어나기도 했지만 노무현 정권이 주요 신문에 대한 헐뜯기와 발목잡기로 일관하며, 악의적으로 집요하게 신문의 이미지를 실추시키고 국민과 신문 사이를 이간질한 탓도 크다. 역사에 죄를 지은 우민화(愚民化) 정책이고 반(反)문명 정책이었다.

신문의 위기는 신문산업의 위기로 끝나지 않는다는 데 심각성이 있다. 신문 읽기는 감성 세대에 취약할 수밖에 없는 사고력과 판단력을 증진시키는 지름길이다. 인터넷에 가장 필수적인 정보 분별능력을 키우는 데 신문 읽기만 한 대안이 없다. 정부는 그동안 후대를 위한 국가의 임무를 내팽개쳐온 것이다.

한국도 신문 독자층을 확대하는 대책을 서둘러야 한다. 국내법에 독서문화진흥법이 있기는 하지만 실효성이 떨어진다. 어릴 적부터 신문읽기 습관을 키워주는 학교교육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활자의 위기는 국가의 위기임을 정부는 인식해야 한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