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세상/양병태]e-사이언스 세상

  • 입력 2007년 4월 2일 03시 00분


코멘트
영화 속의 픽션은 때론 상상의 미래를 현실처럼 보여 준다. 전적으로 허구인 내용이 있지만 충분한 과학적 근거와 가능성을 가진 픽션 속의 논픽션도 많다. 과학기술계에 30년 가까이 종사하다 보니 영화를 볼 때마다 숨은 그림 찾기를 하듯 여러 에피소드 속에서 실현 가능한 논픽션을 찾아내는 일이 습관이 됐다.

대표적인 예가 재난영화 ‘투모로우(The Day After Tomorrow)’다. 빙하 녹은 물이 난류의 흐름을 깨 결국 빙하기가 찾아온다는 내용이다. 시시각각 다가오는 재앙으로부터 지구를 구하기 위해 주인공인 잭 홀 교수가 필사적으로 집착한 작업은 사이버상에서 미국 전역의 슈퍼컴퓨팅 자원을 모아 빙하기의 진행을 예측하는 일이었다.

영화 속 상황은 실현 가능할까. 영화에서처럼 대규모는 아니지만 실제로 이런 일은 세계 곳곳에서 진행된다. 미국 과학재단(NSF)의 지원을 받아 NCSA, SDSC, Argonne, Caltech 등 대형 슈퍼컴퓨팅센터의 자원을 묶어 세계에서 가장 크고 빠른 계산 인프라를 제공하는 테라그리드(TeraGrid) 프로젝트가 대표적이다. 또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사스)이나 조류인플루엔자(AI)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세계의 과학자들이 시공을 초월해 사이버상에서 공동연구를 한다.

사이버상에서 자유롭게 첨단 장비, 대용량 데이터, 연구 인력을 주고받으며 연구하는 환경을 ‘e-사이언스’라고 한다. 연구자는 첨단 네트워킹을 통해 전 세계 대학 및 연구소에 분산된 첨단 장비와 대용량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받으며 손쉽게 활용할 수 있다. 이런 환경이 구축되면 전에는 시도하기 힘들었던 천문우주, 지구환경과 관련된 범지구적인 연구개발이 가능하고, 생명공학 나노 항공우주 등 여러 분야가 융합된 연구를 쉽게 할 수 있다.

e-사이언스 연구 환경을 개발하기 위해 세계 각국이 쏟아 붓는 노력은 대단하다. e-사이언스라는 단어를 처음 사용한 영국은 2001년부터 2006년까지 5000억 원이 넘는 예산을 투입했다. 미국 과학재단은 e-사이언스 전담부서를 설치하고 테라그리드, 글로벌 람다 가시화 장비(GLVF) 등 세계 최고 수준의 협업 환경 구축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범유럽 규모로 추진하는 ‘EGEE’와 일본의 ‘NAREGI’ 프로젝트에서 보듯이 e-사이언스는 국가가 집중 지원하는 중요 과학기술 분야다.

e-사이언스 기술 개발에 집중하는 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다. 국가의 미래 먹을거리 창출을 위한 가장 핵심적인 ‘가능성’이기 때문이다. 국내에 e-사이언스 연구 환경이 성공적으로 정착되면 한 해 수천억 원의 연구개발 비용을 절약하고 연구 성과의 수준을 빠르게 끌어올릴 수 있다. 신약 개발의 경우 최대 100분의 1까지 연구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노력 대비 성과를 수십 배 끌어올릴 수 있는 꿈의 연구 환경이 바로 e-사이언스이다.

글로벌 기술개발 시장은 분초를 다투며 변화한다. 누가 얼마나 빨리, 얼마나 좋은 기술을 개발했는가가 한 나라의 미래를 결정짓는다. 국가 경쟁력이 과학기술 수준에 의해 좌우되는 과학기술 중심사회에서는 당연한 결과다. 결론적으로 말해 어떤 나라가 더 뛰어난 e-사이언스 인프라를 구축하는가에 따라 국민의 삶의 질은 물론 나라의 미래까지 크게 좌우될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이것이 세계 각국이 e-사이언스 연구 환경 개발에 혼신의 노력을 기울이는 이유다.

한국도 과학기술부의 적극적인 지원 하에 e-사이언스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조만간 국내 연구실에서 보편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양병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장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