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이한규]‘아프리카 외교’ 인프라 만들자

  • 입력 2006년 11월 8일 03시 00분


코멘트
8일 서울에서 열리는 1차 한-아프리카 포럼에 콩고 나이지리아 가나 탄자니아 베냉 등 5개국 정상과 25개국의 장관급 관료가 참여한다. 이번 포럼은 한국의 아프리카 외교에서 아프리카 여러 정상이 한자리에 모이는 첫 국제행사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남북한이 아프리카에서 외교전을 벌이던 1982년 전두환 전 대통령이 한국 정상으로는 처음으로 아프리카를 순방해 아프리카 외교에 숨통을 텄다. 하지만 이번 포럼이 있기까지 주목할 만한 아프리카 외교정책은 거의 없었다. 경쟁국인 일본과 중국에 비해서 늦은 감은 있지만 이번 포럼은 아프리카 외교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는 데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다.

일본은 1993년 아프리카개발회의(TICAD)를 통해 자원 외교로 첫 포문을 연 후 현재까지 130억 달러가 넘는 개발 원조를 제공했다. 중국은 2000년부터 중부아프리카 포럼을 개최해 오고 있다. 특히 이달 3일부터 5일까지는 48개국의 아프리카 정상과 장관급 각료를 초청해 100억 달러의 경제지원을 약속하는 등 대대적인 아프리카 외교 공세에 나서고 있다.

이에 비해 한국은 공적개발원조(ODA)를 2008년까지 현재의 3배인 1억 달러로 늘릴 계획이 전부인 실정이다. 다만 일본에 의한 식민 지배와 6·25전쟁이라는 시련을 딛고 급성장한 한국의 발전은 역시 식민 지배의 아픈 경험을 한 아프리카 국가들의 발전 모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이제부터라도 중국 일본과는 다르게 아프리카에 접근할 필요가 있다.

첫째, 53개국 8억의 인구에 18곳밖에 안 되는 한국의 외교공관을 늘려야 한다. 공관이 늘어나면 현지 한국기업 진출이나 교민의 활동에 활력을 줄 것이다. 정확하고 빠른 정보 수집과 분석을 통해 아프리카에 진출한 기업인들에게 유익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둘째, 아프리카 전문 연구기관이 필요하다. 현재는 아프리카 전문가의 상당수가 국내에서 강의와 연구조차 할 수 없어 다른 학문으로 전향(?)한 사례도 적지 않다. 이들을 모아 전문 연구기관을 설치해 연구 활동을 하게 함으로써 중장기적인 아프리카 정책을 이끌어 가도록 해야 할 것이다.

셋째, 한국의 아프리카 외교에는 정부 민간(기업) 언론이 삼위일체가 되어 적극 나서야 한다. 3월 노무현 대통령의 아프리카 순방 기간의 보도는 단순한 뉴스 전달에 그쳤다. 아프리카 각 국가에 대한 심층적인 보도를 통해 한국 국민에게 아프리카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해야 한다. 정부도 아프리카 외교정책을 홍보하는 데 더 많이 투자해야 한다.

반기문 외교통상부 장관이 유엔 사무총장으로 선출되었고 21세기 유엔의 슬로건 중 하나가 ‘빈곤퇴치를 위한 공동노력’이다. 만성적인 빈곤지역인 아프리카에 대한 한국의 좀 더 적극적인 접근은 앞으로 반 차기 총장이 임무를 수행하는 데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번 한-아프리카 포럼이 노무현 정부의 임기와 함께 끝나는 일회성의 행사가 된다면 일본과 중국의 아프리카 지원 물량 공세를 고려해 볼 때 아프리카에서 한국이 설 땅은 좁아질 것이 분명하다.

이한규 서울시립대 연구 교수·아프리카지역학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