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에서 보니]김일겸/민족정체성 강요할 일 아니다

  • 입력 2004년 8월 6일 18시 33분


코멘트
지난해 11월 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 카자흐스탄 대통령이 한국에 왔었다. 노무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고 고려인의 민족적, 문화적 발전을 더욱 증진시킨다는 내용의 공동선언문을 발표했다. 이 조항이 고려인들에게 도움이 될까? 한국인으로서 현지에 체류하는 필자는 물론이고 카자흐스탄의 고려인들도 그 필요성과 효과에 의문을 갖고 있다.

카자흐스탄은 130여개 민족이 섞여 사는 다민족 국가다. 이 나라에서 민족 문제는 민감한 현안이다. 카자흐스탄 정부는 민족간 화해와 협력을 도모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국민 사이에서도 민족간의 관계를 해치는 이야기는 금기다. 뒤에서 다른 민족의 험담을 할 수 있을지는 몰라도 당사자 앞에서는 거의 무조건적으로 그 민족에 대한 칭찬을 하는 것이 관례다.

카자흐스탄인들의 민족관은 구소련 민족정책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구소련은 민족간 융합을 중요시했다. 이는 단순히 민족간의 공존 수준이 아니라, 민족끼리 서로 피를 섞어 하나의 국민으로 살아가도록 하는 것을 의미했다. 그런 민족융합 정책의 영향으로 오늘날 카자흐스탄 민족의 4분의 1 정도는 타 민족과 결혼해 살고 있다.

이렇게 모든 민족이 평화롭게 한 국민으로 섞여 살아가도록 하는 것이 카자흐스탄의 민족 정책이라고 볼 때 민족 문제는 가급적 제기하지 않는 것이 좋다. 그러나 한국의 대외동포 정책은 역사적이고 혈연적인 조국을 강조하며 민족 정체성을 강하게 요구한다. 한-카자흐스탄 공동선언의 고려인 조항도 아마 고려인이 불필요한 차별을 받지 않도록 양국 정부가 노력하자는 긍정적인 뜻으로 한국측의 요청에 따라 삽입됐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러나 이는 자칫 카자흐스탄의 민족정책에 반하는 내정간섭으로 비칠 수 있다는 점 또한 알아야 한다.

민족 정체성을 갖는 것은 자신의 ‘뿌리’에 자부심을 갖는다는 것과 일맥상통하는 얘기이니 누가 이를 탓할 수 있으랴. 그러나 정체성을 지나치게 강조할 경우 다른 민족들과 섞이는 데에 장애가 될 수 있다. 이미 많은 고려인은 고려인끼리 어울려 살기보다 타 민족과 결혼해 살고 있는데 굳이 민족 정체성을 강조하는 것이 무슨 효과가 있을까.

근본적으로는, 해외동포들이 강한 민족 정체성을 갖는 것이 과연 바람직한가도 한번쯤 생각해봐야 한다. 고려인들이 민족의 ‘섬’을 이루고 사는 것과, 다른 민족들과 평화롭게 섞여 카자흐스탄 사회에 적응해 살아가는 것 중에서 어느 쪽이 바람직한가.

사실은 선택의 여지가 없는 외길이다. 정체성 여부와 상관없이 한국은 고려인을 받아들이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그들은 그곳에서 살 수밖에 없다. 스탈린에 의해 카자흐스탄 땅에 버려진 고려인들을 친구로 받아들인 이는 카자흐스탄 사람들이다. 카자흐스탄의 고려인들 사이에서는 “한국은 아무런 책임도 지지 않으면서 말로만 민족 정체성을 찾는다”는 얘기도 들린다.

한국이 진정으로 카자흐스탄 동포를 돕고 싶다면 그들에 대한 포용성부터 갖춰야 한다. 그리고 그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실질적인 방안을 요란하지 않게 찾아야 하지 않을까.

김일겸 카자흐스탄 과학원 고고학연구소 연구원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