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토론마당]찜질방 남녀구분 논란

  • 입력 2004년 7월 20일 19시 06분


코멘트
▼음담패설·끈끈한 시선에 불쾌… 분리 바람직▼

찜질방을 찾을 때마다 나는 긴장되고 불편함을 느낀다. 제한된 공간에서 낯선 남자들과 함께 지내야 한다는 생각 때문이다. 무례한 남자들의 끈끈한 시선도 싫고 입심 좋은 남자들의 무분별한 대화를 그대로 들어야 하는 일도 역겹다. 철없는 젊은이들이 스스럼없이 눈살 찌푸리게 하는 짓을 볼 때면 불쾌하기까지 하다. 남녀 공용이 아니라면 느끼지 않아도 될 불편이고 불쾌감이다. 자유롭고 가벼운 마음으로 즐겁게 보내야 할 시간에 긴장하고 불편을 느껴야 한다면 뭔가 잘못된 것이라고 생각한다. 찜질방의 남녀 공간을 분리하게 되면 이런 불편을 한꺼번에 해소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가족 단위 손님을 위해서는 별도의 공간을 두는 등의 배려를 하면 될 것이므로, 남녀 공간을 분리한다고 찜질방 업자들이 반드시 불리해지지는 않을 것이다.

천옥희 주부·광주 북구 일곡동

▶연재물 리스트로 바로가기

▼일부 잘못으로 가족 휴식공간 없애서야▼

찜질방은 이제 국민의 대표적인 여가시설의 하나로 자리 잡았다. 특정 세대와 계층에만 국한된 시설이 아니라는 얘기다. 이런 상황에서 남녀의 이용 공간을 구분한다면 여가시설로서 찜질방의 의미는 퇴색한다. 찜질방은 목욕탕처럼 단순히 ‘위생’만을 위한 시설이 아니라 ‘휴식’의 개념이 포함돼 있다. 친구 연인 가족 등 다양한 세대와 계층이 함께 이용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물론 찜질방에서 젊은 남녀가 과도한 애정표현으로 주위를 민망하게 만드는 등의 문제가 생기기도 한다. 그러나 이는 찜질방이 잘못됐기 때문에 생기는 문제가 아니요, 찜질방에서만 벌어지는 풍경도 아니다. 극히 일부 사람의 잘못된 행태인 것이다. 그런 마당에 남녀 공간을 구분할 경우 ‘휴식’을 위해 찜질방을 찾는 선의의 일반시민들만 피해를 보게 될 것이다.

김승예 대학생·대구 수성구 두산동

▼심야입장 제한하면 문란행위 막을 수 있어▼

찜질방을 남녀 구분해 운영토록 하겠다는 생각은 현실을 도외시한 정책이라고 본다. 일부 청소년들이 찜질방에서 혼숙을 하는 등 부작용이 있는 것은 사실이나 그것은 현행법으로도 충분히 규제할 수 있는 문제다. PC방이나 만화방이 오후 10시 이후엔 미성년자의 출입을 통제하는 것처럼 찜질방도 심야에는 청소년의 입장을 제한하면 된다. 남녀 공간을 분리하면한다고 풍기문란이 바로잡히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가뜩이나 경기가 어려운 상황에서 서민들의 휴식, 문화 공간으로 사랑받고 있는 찜질방을 고사시켜 가족간 대화를 단절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지 않을까 걱정이다. 규제하고 제한하는 데 급급하기보다 정부나 이용객, 업주 등이 함께 노력해 더욱 즐겁게 이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들어야 할 것이다.

박준홍 회사원·서울 종로구 명륜동

▼복지부 “남녀공간 분리운영 공식검토 없어”▼

신종 자유업종인 찜질방은 관할 세무서에 사업자 등록 신고만으로 영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동안 위생관리와 안전관리 문제가 소홀했다. 이를 제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공중위생법에 찜질방을 목욕장업의 일부 업종으로 포함시키는 내용으로 입법 예고했고, 현재 규제개혁위원회에서 심사 중이다. 이렇게 찜질방을 국가가 관리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한 뒤 하위법령으로 시설 및 위생관리 기준 등을 정할 계획이다. 이 과정에서 정부는 국민의 건전한 휴식공간으로서의 찜질방의 기능을 살리면서 각종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위생수준도 향상시키기 위해 관계부처, 관련단체, 지방자치단체, 전문가 등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해 합리적 기준을 마련할 계획이다. 남녀 공간 분리 운영 방침은 공식 검토되거나 결정된 바 없다.

오운성 보건복지부 질병정책과 사무관

▽다음주 독자토론마당 주제는 ‘국회의원 후원금 상한액 증액 추진 논란’입니다. 열린우리당은 최근 연간 1억5000만원인 현행 국회의원 후원금 한도를 높이는 방향으로 정치자금법 개정을 추진키로 했습니다.

여야는 지난해 말 정치개혁의 일환으로 연간 3억원이던 상한액을 절반으로 낮춘 바 있습니다. 그러나 여권은 상한액 인하가 정치 현실을 감안하지 않은 것이며, 후원금의 투명성 확보가 가능한 만큼 다시 상향 조정해도 문제가 없다는 이유로 재개정하겠다는 것입니다. 야당 일각에선 후원금 한도액 현실화 대신 국고보조금에서 후원금을 지원하는 방안도 제시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다른 일부에선 이런 시도가 모두 ‘돈 안 쓰는 정치’에 반하는 것이라며 반대하기도 합니다.

이에 대한 독자 여러분의 의견을 500자 정도로 정리해 다음주 월요일(7월 26일)까지 본보 기획특집부로 팩스(02-2020-1299) 또는 e메일(reporter@donga.com)로 보내주시면 됩니다. 실명(實名)과 주소 직업 전화번호 등을 명기하시기 바랍니다. 채택된 글에 대해선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