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사면 애드벌룬 띄우기인가=문희상(文喜相) 대통령비서실장은 이날 오전 “특별사면 추진이 언론에 보도된 경위를 조사하라”고 지시한 뒤 정작 국회 운영위에 출석해서는 “내부적으로 사면을 검토 중이다. 대통령에게는 보고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문재인(文在寅) 대통령민정수석비서관은 이날 일일현안 회의에서 “취임 1주년을 계기로 특별사면을 할 것인지 여부가 공식적으로 확정되지 않았다”고 애매하게 말했다.
그러나 윤태영(尹太瀛) 청와대 대변인은 오후 브리핑에서 “특별사면을 공식화할 가능성이 없다는 것도 아니다. 당장은 아니라는 뜻이다”며 여지를 남겨 무엇이 청와대의 진의인지 혼란스러운 상황을 연출했다.
이에 따라 야당에서는 청와대가 특별사면 추진 사실을 언론에 흘린 뒤 여론의 반응이 좋지 않자 ‘이중 플레이’를 벌인다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이처럼 청와대가 애매한 태도를 취하고 있는 것은 김대중(金大中) 전 대통령측에서조차 특사방침에 대해 차가운 반응이 나오고 있는 것과 무관치 않다.
대북송금 사건 관련자 대부분이 형이 확정되지 않았는데도 사전조율이 전혀 없었던 점에 DJ측이 노골적으로 불쾌하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청와대 일각에서는 김 전 대통령의 차남인 홍업(弘業)씨와 3남 홍걸(弘傑)씨에 대한 사면도 검토 중이라는 얘기가 흘러나왔다.
▽특별사면과 총선 관련 여부 추궁=이날 야당 의원들은 운영위에서 문 실장을 비롯해 문 수석, 유인태(柳寅泰) 대통령정무수석비서관 등을 상대로 사면복권과 총선의 관련성 여부를 집중적으로 추궁했다.
한나라당 김성조(金晟祚) 의원은 “노무현 대통령이 총선 ‘올인’ 전략 차원에서 사면복권을 조기에 추진하려는 것 아니냐”고 따졌다. 이에 문 실장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고 강하게 부인했다.
김 의원이 “대통령 취임 1주년이 사면복권을 할 정도의 기념일이냐”며 사면복권의 타당성을 문제 삼자 문 실장은 “옛날 제왕 시절부터 은사를 베푸는 차원에서 사면복권을 했다”고 맞받아쳤다.
문 실장은 이날 “한나라당에선 선거법 위반자에 대한 특별사면 건의가 들어왔다”며 야당을 은근히 압박하기도 했다.
이날 한나라당 김황식(金晃植) 의원은 정부가 미군기지 이전을 방관했다는 의혹을 제기하며 “이 정부가 국민이 납득하기 어려운 좌파적 성향으로 흐르고 있다”고 공세를 펴기도 했다.
김정훈기자 jnghn@donga.com
이명건기자 gun43@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