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짜선택
  • 항우울제 효과 없다고? 여전히 소중한 치료제[김지용의 마음처방]

    항우울제 효과 없다고? 여전히 소중한 치료제[김지용의 마음처방]

    현대의학 중 가장 많은 오해와 편견이 있는 분야는 단연코 정신건강의학일 테다. 정신 질환에 대해선 ‘의지가 부족한 사람들이 핑계 대는 것 아닌가?’ ‘정신과 의사들이 만들어낸 질병들일 뿐 실재하지 않는다’ 등의 날 선 공격과 억측이 난무한다. 그중 특히 약물 치료에 대해 잘못된 인식을…

    • 2025-06-29
    • 좋아요
    • 코멘트
    PDF지면보기
  • ‘제로’ 음료 전성시대… 뇌 건강에도 좋을까[김지용의 마음처방]

    ‘제로’ 음료 전성시대… 뇌 건강에도 좋을까[김지용의 마음처방]

    그야말로 제로 음료 전성시대다. 치킨에 콜라 한 잔, 얼마나 좋은가. 하지만 마음 한편에선 살찔 걱정과 죄책감이 드는데, 제로 음료는 이 내적 갈등으로부터 우리를 구원한다. 내과 의사들도 일반 탄산음료보다 설탕을 빼 칼로리와 당 함량을 0%로 내린 제로 음료가 건강에 더 좋다고 말한다…

    • 2025-06-01
    • 좋아요
    • 코멘트
    PDF지면보기
  • AI 시대, 여전히 사람과 상담해야 하는 이유[김지용의 마음처방]

    AI 시대, 여전히 사람과 상담해야 하는 이유[김지용의 마음처방]

    최근 들어 진료실에서 인공지능(AI)과 관련된 이야기를 정말 자주 듣는다. AI의 폭발적 성장세에 직업을 잃게 될까 걱정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는 어느새 내게도 다른 세상 얘기가 아니게 됐다. AI와 심리상담을 한 경험담을 자주 듣게 되기 때문이다. 종종 내담자들이 보여준 AI의 상담 …

    • 2025-05-04
    • 좋아요
    • 코멘트
    PDF지면보기
  • 타고난 예민함, 잘 다루면 큰 장점[김지용의 마음처방]

    타고난 예민함, 잘 다루면 큰 장점[김지용의 마음처방]

    매우 예민한 사람들, HSP(Highly Sensitive Person)들은 같은 자극에도 감정적으로 크게 반응하거나 생각이 너무 많아진다. 이러한 기질은 장애나 질병이 아니라 전 인구의 15∼20%가 갖고 있을 만큼 매우 흔한 특성이다. 소수라는 이유로 별종 취급을 받기도 하지만, …

    • 2025-04-06
    • 좋아요
    • 코멘트
    PDF지면보기
  • 이런 특징 있다면 당신은 ‘특별히 예민한 사람’[김지용의 마음처방]

    이런 특징 있다면 당신은 ‘특별히 예민한 사람’[김지용의 마음처방]

    사람은 다 다르다. 똑같은 상황에 대한 사고방식과 감정반응 모두 다 놀라울 정도로 다르다는 것을 진료실에서는 계속 보게 된다. 직장 상사의 가벼운 질책 섞인 말을 어떤 이는 기억도 못 하고, 어떤 이는 밤새워 고민한다. 이런 차이에는 그 사람의 현재 상황, 자존감, 과거 직장에서의 경…

    • 2025-03-09
    • 좋아요
    • 코멘트
    PDF지면보기
  • 똑똑한데… 왜 사회적 의사소통이 안 될까?[김지용의 마음처방]

    똑똑한데… 왜 사회적 의사소통이 안 될까?[김지용의 마음처방]

    운영하는 유튜브 채널에 이런 댓글들이 종종 달린다. ‘책으로만 사람을 배운 것들이 뭘 알아’ ‘멀쩡한 사람들에게 진단을 붙여 약을 팔려는 것들’. 솔직히 말하자면 책을 더 봐야 하는데 아쉽게도 그 시간이 그리 길지 못하다. 그 대신 대부분의 시간 사람을 만나 다양한 이야기를 듣는다.…

    • 2025-02-09
    • 좋아요
    • 코멘트
    PDF지면보기
  • ‘불면증 해결사’ 졸피뎀? 꼭 알아야 할 부작용[김지용의 마음처방]

    ‘불면증 해결사’ 졸피뎀? 꼭 알아야 할 부작용[김지용의 마음처방]

    정신건강의학과에서 처방되는 수많은 약들 중 가장 널리 알려진 이름은 아마 ‘졸피뎀’이 아닐까 싶다. 그리고 그 유명세는 오남용 사례들이 언론에 많이 보도되며 얻게 된 악명에 기인할 테다. 실제로 나 역시 의존성과 부작용의 위험을 고려해 잘 처방하지 않는 편이긴 하지만, 꼭 필요한 경우…

    • 2025-01-12
    • 좋아요
    • 코멘트
    PDF지면보기
  • 소설 ‘채식주의자’ 영혜의 심리와 조현병[김지용의 마음처방]

    소설 ‘채식주의자’ 영혜의 심리와 조현병[김지용의 마음처방]

    올 한 해 가장 뜨거운 화제가 된 책은 단연코 한강 작가의 ‘채식주의자’일 것이다. 독자들의 소감을 찾아 보면 제각각의 해석들이다. 등장인물들에 대한 비난도, 작가에 대한 비난도 보게 된다. 나 역시 책을 통해 많은 생각이 들었고, 문학에 조예가 깊지 않기에 작가의 메시지 중 일부만 …

    • 2024-12-15
    • 좋아요
    • 코멘트
    PDF지면보기
  • 이상기온 인한 이상기분… ‘기후 우울’ 조심[김지용의 마음처방]

    이상기온 인한 이상기분… ‘기후 우울’ 조심[김지용의 마음처방]

    “정말 이러다 지구가 망하는 거 아닌가 생각이 들더라고요.” 작년까지는 듣지 못하던 이 말을 최근 몇 달간 진료실에서 자주 들었다. 9월 날씨가 이래도 되나? 10월 날씨가 이래도 되나? 아니, 수능날에 이렇게 따뜻해도 돼요? 실제로 며칠 전 수능은 역대 가장 따뜻한 수능일로 평년보다…

    • 2024-11-17
    • 좋아요
    • 코멘트
    PDF지면보기
  • ADHD 환자라면 축구보다 달리기 권해[김지용의 마음처방]

    ADHD 환자라면 축구보다 달리기 권해[김지용의 마음처방]

    진료실에서 의사들이 가장 자주 건네는 말이 ‘운동하라’일 것이다. 이는 정신건강의학과에서도 동일하다. 또한 최근 많은 사람이 스스로 진단을 의심하는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에서도 역시 예외가 아니다. 치료의 핵심인 약물이 한계를 보일 때도 있고, 운동 자체가 ADHD의 증상 개…

    • 2024-10-20
    • 좋아요
    • 코멘트
    PDF지면보기
  • 습관적 지각, 원인별 맞춤 처방 필요합니다[김지용의 마음처방]

    습관적 지각, 원인별 맞춤 처방 필요합니다[김지용의 마음처방]

    최근 몇 년째 정신건강의학과에서 가장 뜨거운 화제의 질환은 단연코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일 것이다. 지난 글에서도 언급한 ‘잦은 분실’ 등 ADHD에서 흔한 특징들이 널리 알려지며 스스로 진단을 의심하는 이들이 병원에 많이 찾아온다. 그중 하나가 바로 ‘잦은 지각’인데, AD…

    • 2024-09-22
    • 좋아요
    • 코멘트
    PDF지면보기
  • 물건 자주 잃어버린다면 ADHD 의심해 봐야[김지용의 마음처방]

    물건 자주 잃어버린다면 ADHD 의심해 봐야[김지용의 마음처방]

    아직도 끝나지 않은 올해 여름 날씨는 그야말로 변덕스럽다. 땀을 뻘뻘 흘린 채 진료실에 들어온 환자분의 상담이 시작되자마자 창밖에선 엄청난 빗줄기가 쏟아져 내리고, 이내 어두워진 목소리의 독백을 자주 듣게 된다. “아 맞다. 우산….” 진료실에서는 유독 물건을 잘 잃어버리는 사람들을 …

    • 2024-08-25
    • 좋아요
    • 코멘트
    PDF지면보기
  • 항우울제 부작용, 의사에게 편히 이야기하세요[김지용의 마음처방]

    항우울제 부작용, 의사에게 편히 이야기하세요[김지용의 마음처방]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차단제, 흔히 말하는 항우울제는 현대 정신과 치료의 가장 기본적 도구다. 뇌 속 세로토닌 농도를 조절하는 이 약제는 우울증뿐 아니라 강박장애, 공황장애, 섭식장애 등 다양한 질환에 주된 치료제로 쓰인다. 안타깝게도 완벽하지는 않다. 우울증 환자분들이 자의로 약물…

    • 2024-07-28
    • 좋아요
    • 코멘트
    PDF지면보기
  • 폭식후 죄책감… 섭식장애 이면에 숨은 심리적 문제[마음처방]

    폭식후 죄책감… 섭식장애 이면에 숨은 심리적 문제[마음처방]

    언젠가부터 우리는 ‘폭식’이라는 말을 일상에서 정말 흔히 쓰고 있다. 그렇다면 과연 어느 정도가 폭식일까? 폭식의 사전적 정의는 ‘음식을 한꺼번에 지나치게 많이 먹음’이다. 그렇다면 이 지나친 많음의 기준은 객관적인 식사량인 걸까? 그렇지 않다. 폭식을 결정하는 기준은 바로 ‘감정’…

    • 2024-06-30
    • 좋아요
    • 코멘트
    PDF지면보기
  • ‘발표 불안’에 대처하는 단계적 해결법[김지용의 마음처방]

    ‘발표 불안’에 대처하는 단계적 해결법[김지용의 마음처방]

    “이런 문제도 정신과에서 진료를 해요?”라는 질문을 종종 듣게 되는데, 대표적인 경우가 ‘발표 불안’이다. 직종을 가릴 것 없이 남들 앞에 설 때의 불안 증세로 힘들어하는 분들이 많다. 심장이 두근거리며 호흡이 가빠지고, 얼굴은 하얗게 질리며 입이 바싹 마르고, 자신 있는 목소리를 내…

    • 2024-06-02
    • 좋아요
    • 코멘트
    PDF지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