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경남]울산시장 공약 40%만 수용 가능

  • 입력 2002년 7월 21일 19시 11분


박맹우(朴孟雨) 울산시장의 공약(114개) 가운데 45개(39.5%)만 수용이 가능하고 나머지 69개는 실현 가능성이 없거나 시가 이미 추진 중인 사업인 것으로 나타났다.

울산시가 최근 울산발전연구원과 함께 박 시장의 공약을 점검한 결과 이 같이 분석됐다.

이에 따르면 △노사정위원회 설립 △업무추진비 및 행정정보 공개 △시민회관 건립 △미래산업 지원조례 제정 △노동 옴부즈만 제도 신설 및 운영 △치매노인 가족지원센터 건립 △시립노인전문병원 건립 등 45개는 적극 수용해 올해부터 추진키로 했다.

그러나 △울산대 의과대학 유치 △옥동군부대 이전 후 어린이 대공원 조성 △울산공항 국제공항화 △핵발전소 추가건설 백지화 △세계 음악예술제 개최 △자전거 전용 간선도로망 구축 △야구장 건립과 프로야구단 창단 등 28개 공약은 실현 가능성이 희박해 장기적으로 수용 여부를 검토해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또 △염포산 터널 신설 △울산박물관과 공무원 연수원 건립 △공해차단녹지조성 △국공립(시립) 대학 유치 △울산문화재단 설립 △장생포 해양공원 조성 등 41개 사업은 이미 추진중인 사업을 공약에 포함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시는 “대규모 사업 등은 계속사업이기 때문에 추진되고 있는 사업이 공약에 포함됐으며 일부는 지금 당장은 수용하기 어렵지만 장기적으로 반드시 수용돼야 할 사업”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한 시민단체 간부는 “박 시장이 선거과정에서 구체적이고 충분한 검토 없이 ‘당선만 되면 그만’이라는 생각에서 공약을 남발했다”며 “당선된 뒤 공약을 지키지 않는 것은 유권자들과의 약속위반이기 때문에 반드시 책임을 따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울산〓정재락기자 jrjung@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