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의 눈]강정훈/공염불 ‘도민 제일주의’

  • 입력 2001년 2월 11일 18시 44분


지방자치단체장의 민선시대로 들어선 이후 공무원들의 태도가 확실히 달라졌다고들 한다. 주민을 받들지 않고는 다음 선거에서 이기기 어렵다는 단체장들의 계산도 작용했겠지만 아무튼 공무원들의 자세는 관선시대와 견주기 어려울 만큼 친절해졌다.

그러나 최근 경남도에서 벌어진 두 가지 일은 경남도의 ‘민선 시계(時計)’가 제대로 돌아가고 있는지 물어보게 한다.

그 하나는 경남도립 남해전문대의 졸업식 일자가 변경된 일이다. 이 학교의 올해 졸업식은 16일이었으나 갑자기 13일로 앞당겨졌다. 그 이유는 16일 다른 일정으로 짬을 내기 어려운 김혁규(金爀珪) 도지사의 참석을 위한 배려 때문. 주인공인 졸업생과 학부모, 축하객 등의 사정은 무시됐다.

“졸업식 참석을 위해 갓 들어간 회사에서 어렵사리 휴가까지 받아두었는데 이럴 수가 있습니까.”

남해전문대와 경남도청, 도청직장협의회 홈페이지에는 행정편의주의에 불만을 터뜨리는 글들이 이어지고 있다.

또 한가지는 경남도가 이달 초 창원시 신월동과 용호동 관공서 밀집지역의 고급 한식당 8곳에 대해 불시 위생점검을 벌인 일. 이들 식당의 단골은 관청의 고위 간부들인데 갑작스럽게 위생점검을 벌이자 뒷말이 무성하다.

업소 관계자들은 “경남도 간부 등이 이 중 한곳에서 식사를 했다가 언짢게 돌아간 일이 있었는데 그 직후 단속이 시작됐다”며 “‘괘씸죄’가 아니겠느냐”고 해석했다. 이 말이 사실이라면 행정 횡포나 다름없다.

이에 대해 경남도는 “가격이 1인당 1만5000∼3만원으로 비싸다는 ‘여론’이 있어 직원을 내보냈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경남도는 창원시에 시정명령을 지시하면서 정작 문제가 있다는 ‘가격’은 시정대상에 포함시키지 않았다.

경남도청과 도내 곳곳에는 ‘도민 제일주의 실현, 세계 일류 경남 건설’이라는 구호가 나붙어 있다. 경남도가 이 구호처럼 과연 관선시대의 구태를 버리고 도민을 최우선시하는지 묻고 싶다.

<강정훈기자>manman@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