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횡설수설]홍찬식/한국인의 표정

  • 입력 2000년 1월 24일 18시 34분


로스앤젤레스 흑인폭동 직후 한 흑인목사가 서울을 방문했다. 한 가정집에 식사초대를 받은 그는 거실에 걸린 결혼식 기념사진을 보고 깜짝 놀란 표정으로 물었다고 한다. 사진 속의 사람들이 왜 하나같이 화난 얼굴을 하고 있느냐고. 축하객들의 엄숙한 얼굴을 이해하지 못한 것이다. 화가 난 게 아니라 결혼을 성스러운 의식으로 생각하기 때문이라고 설명을 해주자 목사는 “흑인 사회에서 진작 이 사진을 보았더라면 폭동 피해가 크게 줄어들었을 텐데…”라며 탄식을 했다고 한다. 평소 재미교포 상인들이 보여주는 무표정하고 딱딱한 얼굴이 흑인들에게는 자신들에 대한 적개심으로 받아들여졌고 이것이 쌓여 반감을 갖게 됐다는 것이다.

▷서울에 사는 일본인 주부가 겪은 체험담이다. 같은 아파트에서 자주 마주치는 한국 아주머니와 어느날 엘리베이터를 같이 타게 됐다. 자신의 얼굴을 알고 있을 것이라 생각하고 반가움의 표시로 웃으며 인사를 했더니 그 아주머니는 버럭 화를 내더라는 것이다. “내 얼굴에 뭐가 묻었느냐. 왜 빤히 얼굴을 쳐다보고 웃느냐”라며. 한국인의 표정이나 매너에 대한 이런 에피소드는 한두가지가 아니다.

▷우리의 ‘난타’ 공연이 일본에서 큰 인기를 끌었다는 소식이다. 배우들이 칼 빗자루 등 손에 잡히는 것은 뭐든지 타악기로 사용해 신나게 두드려대는 이 공연에 대해 일본인들의 공통된 반응이 한가지 있다. 한국인이라고 하면 대개 엄격하고 딱딱하다는 이미지를 갖고 있는데 이번 공연을 통해 ‘의외로’ 유머러스하고 재미있는 일면을 발견하게 됐다는 것이다.

▷이런 평가에 대해 우리 역시 ‘의외’라는 생각을 갖는다. 한국인들이 정말 그렇게 딱딱하고 근엄한 사람들일까 되묻게 되기 때문이다. 앞서 예로 든 에피소드들은 각 나라의 문화와 관습의 차이를 보여주는 것에 불과할 수 있다. 그러나 달리 생각한다면 한국을 우리보다 객관적으로 볼 수 있는 사람들이 외국인들이다. 스스로 생각해 봐도 매끄럽고 세련되지 못한 부분이 우리에겐 적지 않다. 남이 지적하기 앞서 우리 스스로 외부에 잘못 소개된 점을 제대로 알리려 하고 또 좋은 점은 적극 알리는 것이 세계화 시대의 한가지 과제가 아닐까.

<홍찬식 논설위원> chansik@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