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횡설수설]민병욱/'절받는 기계'

  • 입력 1999년 12월 3일 19시 15분


구한말 고종은 신하들에게 전화로 칙령을 내리는 일이 많았다. 벨이 울리면 신하는 우선 전화기에 대고 공손히 세번 절을 한 다음 전화를 받았다. 행여 임금의 말씀을 놓칠지 몰라 방 안에 있던 사람들은 모두 숨죽인채 통화가 끝날 때까지 부동자세를 취해야 했다. 통화가 끝나면 신하는 다시 임금이 계신 궁을 향해 큰 절을 올렸다. 덕률풍(德律風·텔레폰의 음역)이라 불린 전화는 그래서 ‘절받는 기계’란 이름도 얻었다.

▽전화기에 대고 절을 하는 사람은 요즘도 많다. 높은 사람한테서 전화를 받으면 어느새 자세를 가다듬고 옆사람이 보기에도 민망할 정도로 꾸벅꾸벅 절을 해대는 경우를 주변에서 심심찮게 볼 수 있다. 이런 사람들은 대개 ‘아부꾼’이란 비아냥을 듣기 일쑤지만 정작 본인들은 상대에 대한 예의를 몸으로 표시함으로써 말이 헛나오지 않도록 조심하는 것이라고 항변한다. 어쨌든 절하는 마음가짐으로 전화를 받는다면 불친절하다는 비판은 받지 않을게 틀림없다.

▽전라남도가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전화를 불친절하게 받은 공무원 6명의 퇴출을 결정해 화제다. 여러 해 전부터 주로 지방자치단체 중심으로 공무원 친절운동이 벌어지는 마당에 도대체 얼마나 불친절하게 전화를 받았으면 퇴출까지 당하는지 궁금해진다. ‘열이 초를 녹이듯 친절이 사람을 부드럽게 만든다’는 금언을 생각했더라면 전화를 잘못받아 생업에서 쫓겨나는 불행은 겪지 않았을 것 아닌가.

▽“똑똑하기보다는 친절한 편이 낫다”는 얘기가 요즘 공무원사회에 회자되고 있다. 불친절한 공무원을 솎아내기 위해 옐로카드제를 도입한 기관이 늘어나면서 공무원에게 이제 친절은 생존의 문제로 부상됐다. 전화를 받을 때나 민원인을 만나기 전에 고개숙여 절을 한다는 마음가짐을 가져야만 살아남는 세상이다.〈민병욱 논설위원〉mincho@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