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하며 생각하며]박동은/굶어죽는 지구촌 어린이들

  • 입력 1999년 8월 26일 19시 55분


80년대 말 내가 10여년간 일하던 인구가족계획 분야를 떠나 유니세프(UNICEF·유엔아동기금)로 자리를 옮긴 것은 서울 올림픽을 앞두고 우리 모두가 들떠 있던 때였다. 신흥경제대국(?)으로 부상한 한국을 놓고 유니세프 본부는 공여국으로의 전환을 서둘렀다. 이 작업을 맡을 실무책임자 물색 중 언론과 개발분야에서 쌓은 나의 경력이 인정되어 세계 어린이를 위해 일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된 것이다.

40여년간 지원을 받아온 한국의 유니세프를 공여국 기구로 전환시키기 위한 준비작업은 쉽지 않은 일이었다. 희망과 실망이 무수히 교차한 4년여의 피나는 노력 끝에 94년 1월 유니세프한국위원회는 탄생하고 인도주의적 구제 어린이구호사업이 시작됐다.

나는 최빈국(最貧國) 어린이들의 어려운 상황을 접하면서 인류가 절대 빈곤으로부터 완전히 해방될 날이 언제일까를 자주 반문해 본다. 위대한 현대 과학과 첨단 기술의 힘으로도 고질적 빈곤 퇴치는 불가능한 것일까?

세계인구 60억 중 50억이 소위 개발도상국에 살고 있고, 이 중 10억 이상은 인간 이하의 삶을 이어가는 절대 빈곤층이다. 이들 중 가장 고통받는 계층은 물론 어린이들이다. 가뭄과 내전이 끊이지 않는 사하라사막 남부지역, 이곳 어린이들은 웅덩이물을 가축과 함께 마시고 설사병으로 대부분 죽는다. 도심을 벗어나면 병원과 보건소조차 상수도 시설이 전혀 안돼 있는게 최빈국의 실태다.

만성적 영양실조에다 예방접종을 받지 못해 5세 이전에 죽어가는 어린이가 연간 1200만명이나 되며 인간 발달의 기본 조건인 교육의 기회를 박탈당한 무취학 어린이들도 1억3000만 명에 이른다. 이 밖에 열악한 환경에서 노동하는 어린이, 집 없이 거리를 떠도는 어린이, 가정과 사회에서 학대받고 착취당하는 수억 명의 어린이들이 우리와 함께 지구상에 살고 있다. 여기에는 물론 영양실조로 고통받는 북한의 어린이도 포함된다.

한국에도 국제통화기금(IMF)사태 이후 늘어난 결식 학생을 비롯해 소년소녀가장 등 구호의 손길이 필요한 곳이 많다. 그러나 우리 어린이의 구호 문제는 우리의 능력으로 해결할 수 있어 절대 빈곤국의 경우와는 다르다. 빈곤과 저개발로 인해 자국내 어린이 문제를 스스로 해결할 수 없는 나라들을 지원하는 것은 국제사회의 윤리인 것이다.

6·25전쟁 당시 1인당 국민소득이 60달러에도 못미쳤던 우리나라가 선진 우방의 도움이 없었다면 오늘날과 같은 발전을 이룰 수 있었을까? 국제사회는 재능과 인격과 미래를 가진 어린이들이 고통받으며 죽어가는 것을 그대로 방관하지만은 않는다.

유니세프는 어린이의 삶을 개선시키기 위해 보건, 기초교육, 어려움에 처한 어린이 보호사업 등을 개발도상국에서 벌이고 있다. 한국을 포함한 37개 선진공업국에서는 이러한 어린이 사업을 돕기 위한 민간 모금과 어린이 권리 옹호, 세계교육 및 모유수유 운동을 벌이고 있다.

사실 이 지구상에는 빈부의 불균형을 조정하고 어린이들의 삶의 질을 높여 줄 수 있는 자원과 기술 및 지식이 결코 부족한 게 아니다.

문제는 이들 자원이 불균형하게 분배되고 잘못 쓰여지는데 있는 것이다. 세계가 군비로 지출하는 엄청난 예산을 경제 사회 개발에 투입하고 사치와 향락으로 소비되는 돈을 어린이의 보건 영양 사업과 기초 교육 사업으로 돌린다면 빈곤 퇴치의 속도는 좀더 빨라질 것이다.

박동은(유니세프한국위원회 사무총장)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