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주평화통일민족회의와 경실련통일협회 등 9개 시민단체는 29일 공동기자회견을 갖고 최근 여야 국회의원 1백25명이 정부에 금강산관광 추진 중단을 건의한 것에 대해 비난하고 이를 철회하라고 요구했다.
이들은 “금강산관광은 단순한 관광사업이 아니라 통일시대를 준비하는 상징적 사업”이라고 주장하고 반대 의원들을 가리켜 “냉전시대를 동경하는 시대착오적인 국회의원들”이라고 비난했다.
이에 앞서 한나라당의 김용갑(金容甲)의원 등은 16일 금강산관광 중단 촉구 결의대회를 가진데 이어 26일 김종필(金鍾泌)국무총리에게 금강산관광 중단 촉구 건의서를 전달했다.
이들은 건의서에서 △북한이 잠수정 및 무장간첩 침투사건에 대해 사과하지 않았고 △이산가족문제도 해결되지 않았으며 △경제난이 계속되고 있다는 것을 반대 이유로 들었다. 이들은 특히 “금강산관광을 강행할 경우 막대한 관광요금이 북한측에 의해 군사적으로 전용될 우려마저 있다”고 주장했다.
북한도 이 찬반논쟁 속에 휘말려 들고 있다. 북한은 25일 금강산관광사업 북측 주체인 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회(위원장 김용순·金容淳)대변인 명의의 성명을 통해 금강산관광 반대론을 편 우리측 국회의원들을 ‘민족의 화해와 단합을 바라지 않는 극악한 민족반역자’라고 격렬히 비난했다.
정부의 관계자들은 북한 내부에서도 우리와 비슷한 알력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당초 이달 25일로 예정됐던 유람선 첫 출항이 지연된 배경에는 북한군부가 유람선 기항지인 장전항의 부두 확장공사에 반대하는 것이 한 요인으로 보이며 그 이면에는 북한의 개방파와 보수파간에 갈등이 있는 것 같다는 것이다.
금강산관광사업에 대한 정부의 입장은 확고하다. 남북 화해와 협력 차원에서, 그리고 대북 포용정책의 한 상징으로서 어떻게든 성사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관광사업이 계속 지연될 경우 찬반논쟁이 가열될 가능성이 매우 높고 자칫하면 이것이 사업 무기한 연기의 빌미가 될 수도 있다는 점에서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한기흥기자〉eligius@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