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탄절 아파트 화재 합동감식 종료…“누전 가능성 낮아”

  • 뉴시스
  • 입력 2023년 12월 26일 16시 14분


코멘트

“인적 요인에 의한 발화 가능성”
방화보다는 부주의 사고로 추정
발화 지점은 거실 인접한 작은방
화재로 주민 2명 사망·30명 부상


크리스마스(성탄절) 새벽 서울 도봉구의 한 아파트에서 불이 나 주민 2명이 숨지는 사고가 발생한 가운데, 경찰과 소방이 화재 이튿날인 26일 합동 현장 감식을 진행했다. 감식 결과 이번 화재 원인은 인적 요인에 의한 발화인 것으로 나타났다.

김상훈 서울경찰청 과학수사대장은 이날 오후 2시45분께 화재가 발생한 도봉구 방학동의 아파트 앞에서 기자들과 만나 “전기적 요인에 의한 발화 가능성은 없는 것으로 보인다”며 “방화 가능성도 높지 않다”고 밝혔다.

앞서 경찰과 소방은 이날 오전 11시께부터 21명을 투입해 화재 현장에 대한 합동 감식을 진행했다. 감식에는 3시간45분가량이 걸렸다.

김 과수대장은 “보통 전기적인 기구의 오작동이나 누전 등이 화재 원인일 때 전기적인 원인에 의한 발화라고 하는데 그런 것들은 (이번 감식 결과) 배제가 됐다”며 “현장에서 나온 결정적인 증거물들을 봤을 때 인적 요인에 의한 발화가 가장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다만 “방화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선을 그었다. 기자들이 ‘부주의에 의한 불이라는 거냐’고 재차 묻자, 김 과수대장은 “그 범주 안에 드는 내용”이라고 답했다. 이는 부주의로 인한 실화(失火) 가능성을 높게 본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이번 화재의 발화 지점은 이른바 ‘컴퓨터 방’이라고 불리는 거실에 인접한 작은 방으로 파악됐다.

방화문의 경우 현장 감식 시점에는 열려 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후 경찰 조사 과정에서 평소 방화문이 열려있었는지 여부도 규명될 것으로 보인다. 스프링클러는 설치돼 있지 않았다.

일각에선 불이 났을 때 아파트의 방화문이 닫히지 않아 불길을 차단하지 못하고, 불이 시작된 3층에 스프링클러가 설치돼 있지 않아 피해를 키웠다는 지적이 나온다.

앞서 전날(25일) 오전 4시57분께 도봉구 방학동의 23층짜리 아파트 3층에서 화재가 발생했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소방 당국은 인력 312명과 장비 60대를 투입해 오전 6시37분께 대부분의 불길을 잡았고 오전 8시40분께 화재를 완전히 진압했다.

이 사고로 4층에 살던 박모(33)씨와 10층 주민 임모(38)씨 등 2명이 사망하고, 3명이 중상, 27명이 경상을 입었다. 아울러 주민 200여명이 대피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화재와 관련해 서울 도봉구청은 상황총괄반과 복지대책반 등으로 구성된 통합지원본부를 설치하고 대책을 마련해 추진 중이다. 구청은 인근 숙박업소 등 임시주거시설 3곳을 동원해 총 8세대(23명)를 수용한 상태다.

아울러 경로당에 임시 대피처를 마련했으며, 관내 3개 숙박업소를 임시 거주지로 지정하고 입소 신청한 이재민을 수용·보호 조치하고 있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