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생에게 무차별 폭행당한 교사…입안 찢어지고 반깁스까지

  • 뉴스1
  • 입력 2023년 7월 19일 11시 27분


코멘트
한 학교 교실의 모습.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함) / 뉴스1
한 학교 교실의 모습.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함) / 뉴스1
서울 한 초등학교 교사가 학생들이 보는 앞에서 남학생에게 수십대를 맞아 전치 3주 진단을 받는 일이 발생했다.

19일 교육계에 따르면 서울 양천구 소재 초등학교의 A교사는 지난달 30일 6학년 학생에게 폭행을 당했다.

해당 교사가 온라인 교사 커뮤니티에 게시한 글에 따르면 B학생은 지난 5월 정서행동장애로 특수반에 들어가 하루 1시간 특수반 수업을 듣고 주 2회 상담수업을 받았다.

상담수업에 가기 싫다는 학생을 지도하는 과정에서 이번 폭행이 발생했다. A교사의 지도에 학생은 물건을 집어 던지고 욕설을 하며 ‘때려줄까? 때려도 돼요? 때려야겠다’ 등의 말로 분노를 표출했다. 이후 A교사가 ‘또 선생님을 때린다면 고소하겠다’고 말하자 본격적인 폭행이 시작됐다.

A교사 폭행 피해 모습. (서울교사노동조합 제공)
A교사 폭행 피해 모습. (서울교사노동조합 제공)
해당 교사는 게시물에서 “얼굴·눈·뒤통수·몸 등에 주먹질을 당하고 넘어지면 발길질을 당했다”며 “허리를 들어 던져 반대쪽 바닥에 내리꽂혔다”고 전했다. 또 “계속 맞아가며 전화기 쪽으로 가 수화기를 들자 가위를 던졌고 나를 향해 탁상거울을 던져 깨졌다”고 덧붙였다.

이 교사는 “수화기를 들고 어디에 전화를 해야 할지 고민하다 결국 교감에게 전화했고 그 후에도 계속 맞다 교감과 다른 남자 교사가 함께 와서 그 학생을 데리고 나가니 상황이 종료됐다”고 했다.

이 사건으로 교사는 입 안이 찢어지고 한쪽 손에 반깁스를 하는 등 전치 3주 진단을 받고 치료 중이다. 교사는 “불면증, 불안장애, 우울증 등을 겪으면서 다니던 정신과에서는 소견서를 써줄 테니 대학병원에 가보라고 권유했다”고 적었다.

이번 사건으로 해당 학교에서는 이날 교권보호위를 열고 학생에 대한 처분 수위를 논의한다. 교권보호위에서 학생에게 내릴 수 있는 징계는 학교 봉사부터 출석정지, 학급교체, 전학, 퇴학 등이다.

이 같은 일이 교사 커뮤니티를 통해 확산되자 동료 교사들의 엄벌 탄원서도 쏟아지고 있다. 현재까지 접수된 탄원서는 1800여건이다. A교사는 학생·학부모를 대상으로 민·형사상 대응을 준비 중이다.

동료 교사들과 교원단체는 교권보호위 개최 등 대응이 지연되고 교사가 교육당국에서 어떠한 지원도 받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교권보호위는 가해학생에게 개최 10일 전 통보돼야 한다. 이에 따르면 교권보호위는 빠르면 사건 발생 뒤 10일 후에도 열릴 수 있지만 이번 사안에서는 사건 발생 19일 만에야 교권보호위가 개최됐다.

정혜영 서울교사노동조합 대변인은 “해당 학생에게 걸려있는 교육활동 침해 사안이 3건이었는데 이를 한꺼번에 처리하려고 하니 교권보호위 개최가 미뤄진 것”이라며 “사건 경중에 비해 늑장 대응이 이뤄진 것이라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피해 교사에 대한 지원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는 지적도 있다. 서울교사노조는 성명서에서 “교육활동 침해 발생 시 관리자는 단순·경미한 사안일지라도 소속 교육지원청 학교통합지원센터에 즉시 보고하고 긴급할 경우에는 112, 학교담당경찰관 등에 신속히 신고해야 하지만 피해 교사는 어떠한 지원도 받지 못했다”고 꼬집었다.

문제 행동 학생에 대한 학교 현장의 조치가 이뤄지기 어렵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해당 학교 관계자는 “B학생이 특수반에 들어간 데는 다른 학생들과 분리하려는 목적이 가장 컸다”며 “현재 학교 현장에서는 학생의 문제가 학교에서 그대로 노출되는 것을 막을 도리가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학생이 말썽을 일으킬 때 선도위원회나 교권보호위 등이 열려야만 어떤 조치가 이뤄지니 많이 열악하다”고 덧붙였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