펜트하우스·슈퍼카…‘먹튀’ 헬스장 대표 호화 생활에 피해자 “잠 못 자”

  • 동아닷컴
  • 입력 2023년 6월 14일 16시 34분


코멘트
12일 경기 부천시에 위치한 해당 헬스장은 불이 꺼진채 굳게 닫혀 있었다. 23.06.12. 뉴스1
12일 경기 부천시에 위치한 해당 헬스장은 불이 꺼진채 굳게 닫혀 있었다. 23.06.12. 뉴스1
전국 28개 지점을 보유한 유명 헬스장 체인점이 돌연 폐업을 통보하며 수 백만 원 대의 피해를 입은 한 여성이 “너무 화가 나서 잠을 잘 수 없다”고 호소했다. 반면 헬스장 브랜드 대표는 최근까지 펜트하우스에 거주하고, 고급 자동차 사진을 인스타그램 등에 공유한 것으로 확인됐다.

피해자 A 씨는 14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작년 11월부터 헬스장을 다니기 시작했다. 그러다 지난 5월 22일에 개인 트레이닝(PT) 수업을 받고 이틀 뒤 일방적으로 ‘파업에 들어간다’는 연락을 받았다”며 이같은 억울함을 호소했다.

그는 “1월부터 임금을 받지 못했다는 트레이너의 이야기에 환불 신청서를 제출했다”면서도 “그런데 헬스장은 공사를 하겠다며 갑자기 문을 닫았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러나 공사는 핑계였을 뿐 얼마 뒤 돌연 폐업을 했다”며 “연세가 좀 있는 분들은 아직 (자신이) 피해를 본 사실 조차 모를 것”이라고 했다.

A 씨는 “초반에 등록할 때 174만 원, 추가로 이번 3월 말에 500만 원을 결제했다”며 “원래 600만 원짜리 VIP권인데 헬스장에서 ‘양도도 가능하고, 헬스권도 1년 무료로 준다. 또 필라테스 수업 이용권도 15회 넣어주겠다’며 좋은 조건을 이야기해 계약하게 됐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헬스장) 사내이사는 아예 연락이 닿지 않는 상황이고, 제 담당 트레이너는 연락은 받지만 본인도 피해자라고 주장하고 있다”고 전했다.

아울러 해당 브랜드 대표가 직원들에게도 비싼 명품 시계를 돌리고 자신은 펜트하우스에서 사는 등 최근까지도 호화로운 생활을 누리고 있다는 사실이 공개되자 A 씨는 “마음이 착잡하다”며 “제 피 같은 돈으로 호화롭게 누리며 살았다니 너무 화가 난다”고 전했다. 또 “피해자들을 만나보니 남녀노소 할 것 없이 다양했다”며 “70대도 계시던데, 저희 부모님이 생각나 잠을 잘 수 없었다. 일도 손에 안 잡히고 제대로 된 생활을 할 수가 없다”고 밝혔다.

12일 경기 부천시에 위치한 헬스장 문에 붙은 계고장의 모습. 뉴스1
12일 경기 부천시에 위치한 헬스장 문에 붙은 계고장의 모습. 뉴스1


이에 JY법률사무소의 이재용 변호사는 라디오 인터뷰에서 “장기 회원권을 끊었을 때 많은 혜택을 받은 것 같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그만큼 의심을 해봐야 한다”며 “혜택을 많이 준다는 것은 그만큼 빨리 자금 유치를 해야 한다는 필요성이 있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조금 손해를 보는 것 같아도 단기 회원권을 끊는 것이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어떤 계약서를 아무리 잘 쓰고 어떤 증서를 받고 녹취를 하고, 무엇을 해도 결국에는 문제가 터졌을 때 내가 쫓아가서 무엇을 하는 방법을 찾는 것 뿐 (이런 사건을) 예방하는 것 과는 전혀 상관이 없는 방법들”이라고 조언했다.

다만 “승소 판결을 받았을 때 강제로 내가 집행해 돈을 가져와야 하는데 그 과정이 만만치 않다”며 “상대방 명의로 돼 있는 재산이 더 이상 없다고 하면 돈을 갖고 올 수 있는 방법이 없어지는 것”이라고 했다. 이어 “(헬스장 대표가) 여러 재산이 있다고 해도 본인 명의가 아니고 다른 사람 명의로 돼 있다고 하면 강제집행할 때 굉장히 애로사항이 많이 생긴다”고 덧붙였다.

앞서 서울과 인천 등 수도권 일대에 28개 지점을 운영하던 해당 헬스장 브랜드는 지난 8일부터 회원들에게 단체 문자를 보내며 “회사가 전부 분리됐고 브랜드는 사라졌으며 모두 매각됐다”고 전했다. 회원권을 환불받지 못한 이들은 약 1000명이 넘어가는 것으로 드러났다. 한 사람 당 최소 50만 원에서 수 백만 원까지 피해를 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수사를 시작한 김포경찰서는 “현재 신고가 계속 접수되고 있어 우선 피해 현황을 신속히 파악할 예정”이라며 “책임 소재를 따져 관련 증거를 수집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이예지 동아닷컴 기자 leeyj@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