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단 떠나는 젊은 교사들…저연차 퇴직교사, 1년새 2배 급증

  • 동아닷컴
  • 입력 2023년 5월 24일 10시 04분


코멘트
기사와 직접 관계 없는 자료사진. 게티이미지뱅크
기사와 직접 관계 없는 자료사진. 게티이미지뱅크
교단을 떠난 젊은 교사들이 1년 사이 2배 가까이 급증한 것으로 파악됐다.

24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권은희 의원에 따르면, 최근 1년간(2022~2023) 퇴직한 근속 연수 ‘5년 미만’의 전국 국·공립 초·중·고 퇴직 교원은 589명으로 나타났다. 이는 303명이었던 전년(2021~2022) 대비 2배 가까이 증가한 수치다.

같은 기간 전체 퇴직 교원은 1만2003명으로, 6년 전(2017~2018년) 8367명보다 43.5%(3636명) 증가했다. 근속 연수별로 보면 △‘5년 미만’ 589명 △‘5년 이상~15년 미만’ 597명 △‘15년 이상~25년 미만’ 979명 △‘25년 이상~35년 미만’ 4500명 △‘35년 이상’ 5338명이다.

교사 87%가 최근 1년 새 사직이나 이직을 고민한 것으로 나타났다는 설문조사도 있다. 교사노동조합연맹(교사노조)이 지난달 20~28일 조합원 1만137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 결과다.

조사에 따르면 최근 5년간 교권 침해로 정신과 치료·상담을 받은 적이 있는 교사는 26.59%(3025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 4명 중 1명은 심각한 교권 침해를 겪어 본 것으로 풀이된다.

교사들은 정상적인 교육활동을 위해 가장 시급한 해결 과제로 ‘무고성 아동학대 신고 처벌 등 법률에 의한 교육 활동 침해 방지 대책 수립(38.2%)’을 1순위로 꼽았다.

동아일보DB
동아일보DB
권 의원은 퇴직 교사 수가 증가한 데 대해 “교권 추락 문제는 물론, 무고성 아동학대 신고 및 악성 민원에 무방비로 노출돼 교사들이 적극적인 교육 활동에 집중하기가 어려워지는 현실에서 기인한 현상”이라며 “선생님들이 과중한 책임과 업무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현장 지원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봉오 동아닷컴 기자 bong087@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