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유아 수족구병 한달 새 3배…“이틀 이상 열 나면 병원 가야”

  • 뉴스1
  • 입력 2023년 5월 19일 10시 55분


코멘트
반드시 의료기관을 방문해 치료받아야 하는 경우(질병관리청 제공)
반드시 의료기관을 방문해 치료받아야 하는 경우(질병관리청 제공)
만 6세 이하 영유아 수족구병 환자가 크게 늘고 있다고 질병관리청이 19일 밝혔다.

이날 질병청이 공개한 전국 109개 의료기관 수족구병 표본감시 결과를 보면 2023년 19주차(5월 7일~13일) 0~6세 수족구병 의사(의심)환자 분율은 외래환자 1000명당 13.8명이다.

이는 한 달전인 2023년 15주차(4월 9~15일) 4명보다 3배 이상 급증한 규모다.

같은 기간 전체 연령대의 의사환자 분율은 2.9명에서 9.9명으로 3배 이상 늘었다. 7~18세 소아청소년의 경우 0.5명에서 2.2명으로 증가했다.

코로나19 유행 이후 지난 2022년에 3년 만의 수족구병 계절 유행이 나타난 데 이어 2년째 유사한 시기에 환자가 늘어남에 따라 질병청은 코로나19 유행 이전과 유사한 수족구병 유행을 예상했다.

수족구병은 입안, 손, 발에 수포성 발진이 나타나는 게 주된 증상이다. 또한 발열, 무력감, 식욕 감소, 위장관증상(설사, 구토)이 동반될 수 있다.

대부분 증상 발생 후 7~10일 이후 자연적으로 회복하지만 수막염, 뇌염, 심근염, 마비 증상 등 드물게 합병증이 동반될 수 있어서 증상이 나타나면 신속히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받아야 한다.

특히 6개월 미만의 영아,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지 못하는 경우, 증상이 심한 경우(2일 이상의 발열 등)는 반드시 의료기관 진료를 받아야 한다.

수족구병은 백신이나 치료제가 없어 예방 및 전파 차단이 중요하다. 수족구병이 의심될 경우 다른 사람과의 접촉을 피하고, 어린이집, 키즈카페 등 다중이용시설 이용을 자제해야 한다.

아울러 컵이나 식기 등을 따로 사용하고, 생활공간의 분리가 필요하다.

외출 후, 식사 전?후, 기저귀 뒤처리 후, 화장실 사용 후, 코를 풀거나 기침?재채기를 한 후, 환자를 돌본 후에는 반드시 손을 씻고, 씻지 않은 손으로 눈, 코, 입을 만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

어린이집, 유치원 등에서는 장난감, 문 손잡이 등 손이 닿는 집기의 소독 관리가 필요하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키즈카페 등 영유아 관련 시설에서는 위생관리를 철저히 해달라”며 “어린이집, 유치원에서는 수족구병에 걸린 경우 완전히 회복한 뒤 등원할 수 있도록 안내해 달라”고 말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